<속보>=대전시 원촌동 하수처리장을 갑천 하류지역으로 이전, 지하화시설로 신축하는 안이 경제적·환경적·도시의 미래 발전적 측면에서 최적의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본보 15일자 3면 보도>특히 현 시설을 이전, 최신 공법으로 신축할 경우 원촌동 하수처리장 부지를 새롭게 활용할 수 있고, 대덕구의 최대 현안사업 중 하나인 오정동 위생처리장 이전도 함께 추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재원마련 및 민원해소, 수질개선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16일 대전시, 지역 내 도시환경 전문가 등에 따르면 '지역 하수처리체계 재정립을 위한 연구 용역'을 진행한 결과 현 하수처리장 시설의 개량 및 지하화 현 시설의 완전 이전 및 지하화 등 크게 두 가지 안이 도출됐다.
이 가운데 현 시설을 개량하는 안을 채택할 경우 하류지역의 중계펌프장을 계속 이용해야 하면서 많은 유지관리비가 필요하고, 기존 시설의 철거 및 신설에 따른 막대한 재정적 부담, 자연유하의 방류 불가, 악취발생 등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목받고 있다.
이에 대해 도시환경 및 하수처리 분야에서 국내 최고의 전문가로 알려진 한밭대 오세은 교수는 "연구를 통해 도출된 안을 보면 현 하수처리 시설을 개량·지하화하는 안과 완전 이전해 지하화하는 안 등 크게 두 가지 안이다.
이 중 현 시설을 활용, 지하화하는 것은 엄청난 재정이 투입되는 반면 국비 지원은 한 푼도 받을 수 없다"고 강조한 뒤 "이전 사업을 추진, 오정동 위생처리장을 없앨 수 있고, 현재 신탄진 등에서 역펌핑하면서 발생하는 환경·비용적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결국 대전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환경과 경제적 측면 등을 고려한다면 현 하수처리장의 이전을 위한 정책적 결단이 시급하다"며 이전의 당위성을 역설했다.
또 도시 하천·하수 및 수자원관리 분야의 권위자인 한국수자원공사 김정곤 책임연구원은 "하수처리장 이전 문제는 이제 시간적 여유가 없다. 타 지자체들은 기존 하수처리장을 정비하고 싶어도 대부분 도시계획 사업이 끝나면서 부지확보를 못해 추진하지 못하고 있다. 대전의 경우 다행스럽게 금탄, 대동 등 특구개발사업과 맞물려 있어 이전할 수 있는 여건이 있다. 지금 이 시설에 대한 이전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 나중에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다"고 못 박았다.
대전시의회 이상태 의장은 "이전해야 한다는 당위성에는 변함이 없다. 20년 전 원촌동에 하수종말처리장이 생길 당시에는 그 일대가 지역의 외지였지만 지금은 대전의 중심부로 변했다. 현 하수처리장을 갑천 하류지역으로 이전할 경우 현 부지의 매각·활용 등으로 재원 마련이 쉽고, 주민들의 숙원사업이 해결된다는 점에서 이전 사업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본보 15일자 3면 보도>특히 현 시설을 이전, 최신 공법으로 신축할 경우 원촌동 하수처리장 부지를 새롭게 활용할 수 있고, 대덕구의 최대 현안사업 중 하나인 오정동 위생처리장 이전도 함께 추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재원마련 및 민원해소, 수질개선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16일 대전시, 지역 내 도시환경 전문가 등에 따르면 '지역 하수처리체계 재정립을 위한 연구 용역'을 진행한 결과 현 하수처리장 시설의 개량 및 지하화 현 시설의 완전 이전 및 지하화 등 크게 두 가지 안이 도출됐다.
이 가운데 현 시설을 개량하는 안을 채택할 경우 하류지역의 중계펌프장을 계속 이용해야 하면서 많은 유지관리비가 필요하고, 기존 시설의 철거 및 신설에 따른 막대한 재정적 부담, 자연유하의 방류 불가, 악취발생 등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목받고 있다.
이에 대해 도시환경 및 하수처리 분야에서 국내 최고의 전문가로 알려진 한밭대 오세은 교수는 "연구를 통해 도출된 안을 보면 현 하수처리 시설을 개량·지하화하는 안과 완전 이전해 지하화하는 안 등 크게 두 가지 안이다.
이 중 현 시설을 활용, 지하화하는 것은 엄청난 재정이 투입되는 반면 국비 지원은 한 푼도 받을 수 없다"고 강조한 뒤 "이전 사업을 추진, 오정동 위생처리장을 없앨 수 있고, 현재 신탄진 등에서 역펌핑하면서 발생하는 환경·비용적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결국 대전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환경과 경제적 측면 등을 고려한다면 현 하수처리장의 이전을 위한 정책적 결단이 시급하다"며 이전의 당위성을 역설했다.
또 도시 하천·하수 및 수자원관리 분야의 권위자인 한국수자원공사 김정곤 책임연구원은 "하수처리장 이전 문제는 이제 시간적 여유가 없다. 타 지자체들은 기존 하수처리장을 정비하고 싶어도 대부분 도시계획 사업이 끝나면서 부지확보를 못해 추진하지 못하고 있다. 대전의 경우 다행스럽게 금탄, 대동 등 특구개발사업과 맞물려 있어 이전할 수 있는 여건이 있다. 지금 이 시설에 대한 이전사업을 추진하지 않으면 나중에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다"고 못 박았다.
대전시의회 이상태 의장은 "이전해야 한다는 당위성에는 변함이 없다. 20년 전 원촌동에 하수종말처리장이 생길 당시에는 그 일대가 지역의 외지였지만 지금은 대전의 중심부로 변했다. 현 하수처리장을 갑천 하류지역으로 이전할 경우 현 부지의 매각·활용 등으로 재원 마련이 쉽고, 주민들의 숙원사업이 해결된다는 점에서 이전 사업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