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수처리장 이전을 위한 절차이행이 늦어지고 하수슬러지 처리문제도 최대 현안사업으로 대두되고 있는 대전시 유성구 원촌동 하수처리장. 우희철 기자 photo291@cctoday.co.kr  
 
대전시의 하수처리장 이전사업이 수년째 제자리걸음만 걷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하수처리장 이전을 위한 절차이행이 늦어지면서 내년부터 해양배출이 전면 금지된 하수슬러지 처리 문제도 지역의 최대 현안사업으로 대두되고 있지만 시는 '재원마련이 어렵다'는 이유로 미루고 있어 대책마련과 함께 조속 추진이 절실하다.

15일 대전시, 지역 시민·환경단체 등에 따르면 지난해 하수슬러지 처리시설 설치반대로 불거진 하수처리장 이전 논의는 이달 현재 관련 연구용역만 진행중인 상태로 이전을 위한 최종 정책 결정은 아직 미정이다.

시는 2011년 2월부터 하수슬러지의 해양 배출이 전면 금지됨에 따라 지난 2008년 원촌동 현 하수처리장에 하수슬러지 처리시설을 설치키로 하고, 관련 사업을 추진해 오다 지난해 인근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히면서 모든 사업을 백지화시켰다.

당시 주민들의 극심한 반대가 계속되자 시는 결국 하수슬러지 시설을 포함, 하수처리장 및 오정동 위생처리장의 이전·배치를 전제로 한 하수처리체계 재정립을 시민들과 약속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8월 하수슬러지 처리시설 설치를 유보키로 하고, 같은해 12월 효율적인 하수처리체계 재정립을 위한 전문가 자문회의를 거쳐 올 1월 관련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또 지난 3월에는 연구용역 착수보고회 및 주민, 분야별 전문가 자문회의를 가졌으며, 7월에는 용역 중간보고회 및 2차 자문회의를 통해 시설이전 또는 지하화에 대한 기술적 분석 자료를 일부 공개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시는 효율적인 하수처리체계 재정립을 위해 주민·분야별 전문가들이 참여한 자문회의 및 토론회를 거쳐 여론수렴과 다양한 분석을 통해 최종 결론을 도출한다는 계획이지만 이미 기술적으로 이전에 따른 장단점 분석이 완료됐고, 시민들이 이전을 원하고 있는 상태에서 추가 논의는 불필요하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현재 대덕R&D특구 개발계획이 수립·시행되고 있어 하수처리장 이전 사업이 늦어질 경우 이전부지로 알려진 지역이 선개발되면서 향후 사업추진에 난항이 예상된다.

또 갑천 하류지역이 아닌 중류지역에 현 원촌동 하수처리장 이전 시설이 자리 잡고 있어 향후 하류에서 중·상류로 하수를 역류 전송해야 하는 점도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대해 지역의 환경관련 전문가들은 "하수처리장과 하수슬러지 처리시설, 위생처리장 등을 통합, 이전할 경우 관리의 효율성이 제고되는 것은 물론 신기술 이용에 따른 비용절감이 기대된다"면서 "이전에 따른 재원은 현 부지를 매각하거나 새롭게 활용하는 방안으로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