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법인 이사장이 ‘세종시 입주가 필요없다’는 취지의 발언을 해 파장이 예상된다.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김정배 이사장은 최근 고려대 학보 ‘고대신문’과의 특별인터뷰에서 “세종시 건설계획이 달라지면서 캠퍼스 부지의 비용이나 제공면적, 투자혜택까지 상당히 달라졌다. 그래서 굳이 세종시에 들어갈 필요가 없다고 본다. 오랫동안 꾸준히 투자해온 세종캠퍼스(조치원)에 그 자금을 투자하는 편이 더 좋을 수도 있다”며 세종시 입주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언급했다.
지난 6월 행정도시 수정안 부결 이후 ‘재검토’ 입장을 밝힌 뒤 별다른 논의를 진전시키지 못한 상황에서 학교 최고위층에서 나온 발언이라 세종시 입주 무산에 대한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선 세종시 수정안의 혜택을 기대하던 고려대가 수정안이 부결되면서 각종 이점이 줄어들자 ‘발을 빼는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다.
이에 대해 고려대 관계자들은 공식입장이 아닌 ‘이사장 개인 의견’이라며 선을 긋고 있지만 고려대와 KAIST의 입주를 포함한 세종시 원안의 차질없는 추진을 염원하는 대전·충남 지역민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고려대가 세종시 입주에 대해 적극적인 입장을 보이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재원 확보 때문이다. 당초 수정안에 따라 고려대는 3.3㎡당 30~40만 원대 저가로 캠퍼스 부지를 제공받기로 하고 입주를 적극 추진했었다.
하지만 수정안이 부결되면서 이러한 혜택을 보장받을 수 없게 됐고 3.3㎡당 200만 원이 넘는 가격으로 부지를 매입해야하는 상황에 놓였기 때문이다. 고려대가 계획한 캠퍼스 40만평을 감안하면 부지 매입비용만 8000억 원을 훌쩍 넘게 되고 여기에 건축비까지 포함하면 대략 1조 원이라는 천문학적인 재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현실적으로 이 같은 액수의 비용을 마련할 수 있는 사학은 없다는 것이 고려대 측의 설명이다.
한재민 기획예산처장은 “수정안이 부결되면서 정부기관 이전 등은 원안대로 추진되고 있지만 토지매입 등 구체적인 세부계획은 아직 확정되지 않은 걸로 알고 있다”며 “만약 계획이 확정됐는데 부지매입 비용만 8000~9000억 원이 들어가야 하는 상황이 된다면 그것은 대학이 오지말라는 결정과 다를 바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이사장의 인터뷰 역시 그럴 경우 현실적으로 재원 마련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뜻한 것이지 가고 안가고의 얘기는 아닐 것으로 안다. 세종시 발전과 대학의 상생을 위한다면 협상의 여지가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김정배 이사장은 최근 고려대 학보 ‘고대신문’과의 특별인터뷰에서 “세종시 건설계획이 달라지면서 캠퍼스 부지의 비용이나 제공면적, 투자혜택까지 상당히 달라졌다. 그래서 굳이 세종시에 들어갈 필요가 없다고 본다. 오랫동안 꾸준히 투자해온 세종캠퍼스(조치원)에 그 자금을 투자하는 편이 더 좋을 수도 있다”며 세종시 입주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언급했다.
지난 6월 행정도시 수정안 부결 이후 ‘재검토’ 입장을 밝힌 뒤 별다른 논의를 진전시키지 못한 상황에서 학교 최고위층에서 나온 발언이라 세종시 입주 무산에 대한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선 세종시 수정안의 혜택을 기대하던 고려대가 수정안이 부결되면서 각종 이점이 줄어들자 ‘발을 빼는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다.
이에 대해 고려대 관계자들은 공식입장이 아닌 ‘이사장 개인 의견’이라며 선을 긋고 있지만 고려대와 KAIST의 입주를 포함한 세종시 원안의 차질없는 추진을 염원하는 대전·충남 지역민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고려대가 세종시 입주에 대해 적극적인 입장을 보이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재원 확보 때문이다. 당초 수정안에 따라 고려대는 3.3㎡당 30~40만 원대 저가로 캠퍼스 부지를 제공받기로 하고 입주를 적극 추진했었다.
하지만 수정안이 부결되면서 이러한 혜택을 보장받을 수 없게 됐고 3.3㎡당 200만 원이 넘는 가격으로 부지를 매입해야하는 상황에 놓였기 때문이다. 고려대가 계획한 캠퍼스 40만평을 감안하면 부지 매입비용만 8000억 원을 훌쩍 넘게 되고 여기에 건축비까지 포함하면 대략 1조 원이라는 천문학적인 재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현실적으로 이 같은 액수의 비용을 마련할 수 있는 사학은 없다는 것이 고려대 측의 설명이다.
한재민 기획예산처장은 “수정안이 부결되면서 정부기관 이전 등은 원안대로 추진되고 있지만 토지매입 등 구체적인 세부계획은 아직 확정되지 않은 걸로 알고 있다”며 “만약 계획이 확정됐는데 부지매입 비용만 8000~9000억 원이 들어가야 하는 상황이 된다면 그것은 대학이 오지말라는 결정과 다를 바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이사장의 인터뷰 역시 그럴 경우 현실적으로 재원 마련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뜻한 것이지 가고 안가고의 얘기는 아닐 것으로 안다. 세종시 발전과 대학의 상생을 위한다면 협상의 여지가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