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는 15일 4대강 사업 충남도 대행 사업권과 관련해 “정부에서는 충남도에 4대강 사업권 회수와 관련해 구체적인 의사타전은 없었다”고 밝혔다.
이는 정부가 경남도에 낙동강 사업권 회수를 공식통보한 가운데 충남도 대행사업에 대해서는 별다른 동향을 보이지 않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부의 결정은 경남도의 대행사업에 비해 충남도의 대행사업구간은 대규모 보와 준설이 없어 무리 없이 사업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으로 관측된다. 충남도가 대행하는 4대강 사업은 강경 3·4공구, 8-2공구, 9공구 등 4개 공구로 총 사업비는 1900억 원 규모이다. 또한 준설량은 1200만㎥로 금강 전체 준설량의 25%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충남도 대행 공구의 평균 공정률은 25% 수준으로 금강 전체 공정률 38%에 크게 뒤쳐지지 않는 사업진도를 보이고 있는 점도 정부가 충남도에 사업권 회수 등 강력대응을 하지 않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반면 경남도의 4대강 대행 사업은 낙동강 6~15 공구 등 13곳, 예산만 1조 2000억 원 규모이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경남도의 미온적 사업추진에 적잖은 부담감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실제 경남도가 대행하는 낙동강 구간의 공정률은 16.8%로 낙동강 전체 공정률 32.3%에 비해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충남도 관계자는 “4대강 사업을 추진하면서 합리적 대안을 모색하자는 게 충남도의 입장”이라며 “충남도가 대행하는 4대강 공구는 대규모 보와 준설이 없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대전국토관리청 관계자는 “충남도가 대행하는 구간의 공정률이 차질 없이 올라가고 있다”면서 “정부에서는 충남도의 4대강 사업과 관련해 별다른 지시사항이 없고 금강 살리기 사업은 계획대로 진행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한편 안희정 충남지사는 지난달 29일 금강 살리기 사업의 핵심인 보 건설과 대규모 준설에 대한 반대 입장을 공식적으로 발표한 바 있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
이는 정부가 경남도에 낙동강 사업권 회수를 공식통보한 가운데 충남도 대행사업에 대해서는 별다른 동향을 보이지 않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부의 결정은 경남도의 대행사업에 비해 충남도의 대행사업구간은 대규모 보와 준설이 없어 무리 없이 사업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으로 관측된다. 충남도가 대행하는 4대강 사업은 강경 3·4공구, 8-2공구, 9공구 등 4개 공구로 총 사업비는 1900억 원 규모이다. 또한 준설량은 1200만㎥로 금강 전체 준설량의 25%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충남도 대행 공구의 평균 공정률은 25% 수준으로 금강 전체 공정률 38%에 크게 뒤쳐지지 않는 사업진도를 보이고 있는 점도 정부가 충남도에 사업권 회수 등 강력대응을 하지 않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반면 경남도의 4대강 대행 사업은 낙동강 6~15 공구 등 13곳, 예산만 1조 2000억 원 규모이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경남도의 미온적 사업추진에 적잖은 부담감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실제 경남도가 대행하는 낙동강 구간의 공정률은 16.8%로 낙동강 전체 공정률 32.3%에 비해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충남도 관계자는 “4대강 사업을 추진하면서 합리적 대안을 모색하자는 게 충남도의 입장”이라며 “충남도가 대행하는 4대강 공구는 대규모 보와 준설이 없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대전국토관리청 관계자는 “충남도가 대행하는 구간의 공정률이 차질 없이 올라가고 있다”면서 “정부에서는 충남도의 4대강 사업과 관련해 별다른 지시사항이 없고 금강 살리기 사업은 계획대로 진행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한편 안희정 충남지사는 지난달 29일 금강 살리기 사업의 핵심인 보 건설과 대규모 준설에 대한 반대 입장을 공식적으로 발표한 바 있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