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시중은행을 비롯한 카드·보험사들이 전화마케팅을 강화하면서 소비자들의 불만이 폭주하고 있다.
특히 소비자들은 전혀 이용한 적이 없는 금융사에서까지 걸려오는 무차별식 광고전화에 본인의 개인정보가 새어 나간 것이 아닌가 하는 불안감까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금융사들은 고객들이 카드나 통장 개설시 서명한 개인정보이용동의서 약관에 따라 고객 정보를 얻었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보험사와 은행으로부터 하루 3통의 광고전화를 받았다는 직장인 이모(32·대전시 대덕구) 씨는 이 중 2곳은 들어보지도 못한 회사였다고 설명했다.
이 씨는 “모 은행에 대출 문의 이후 자주 전화가 걸려와 짜증이 나는데, 이젠 이용해 본 적도 없는 곳에서까지 전화가 와 미칠 지경”이라며 “개인정보 유출이 의심이 돼 물어보니 내가 개인정보이용동의서에 서명을 했기 때문에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답을 들었다”고 불만섞인 목소리를 냈다.
또 다른 직장인 박모(28·대전시 중구) 씨는 금융사 전화가 올 때마다 다시 전화가 오지 않도록 조치해달라고 부탁했지만 여전히 걸려오는 전화에 직원과 다툰 적이 한 두 번이 아니다.
박 씨는 “개인정보이용에 동의했다 하더라도 해당 금융사에 조치를 요구했으면 더 이상 사용하지 않아야 하는 것이 이미지에 더 좋은 것 아니냐”며 “금융사 측에 조치를 요청했음에도 왜 또다시 전화했냐고 물으면 담당자가 바뀌어 몰랐다고 핑계를 댔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에 대해 금융사 측은 개인정보이용동의서에 서명을 한 고객들에게만 전화를 하고 있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잘라 말했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꼭 우리 회사와 계약한 고객이 아니더라도 타 금융사에서 계좌 및 카드 개설 시 서명하는 개인정보를 정당하게 얻을 수 있어 아무런 하자가 없다”며 “약관을 잘 읽어보지도 않고 무작정 항의하거나 심지어 심한 욕설까지 하는 고객들이 많아 텔레마케터들의 고충도 이만저만 아니다”라고 오히려 고객들에게 화살을 돌렸다.
그러나 실상 개인정보이용동의서에 서명하지 않으면 카드나 은행계좌가 개설조차 되지 않거나 이용에 제한이 되는 등 불편함은 고객들에게 전가되고 있어 소비자들이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특히 소비자들은 전혀 이용한 적이 없는 금융사에서까지 걸려오는 무차별식 광고전화에 본인의 개인정보가 새어 나간 것이 아닌가 하는 불안감까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금융사들은 고객들이 카드나 통장 개설시 서명한 개인정보이용동의서 약관에 따라 고객 정보를 얻었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보험사와 은행으로부터 하루 3통의 광고전화를 받았다는 직장인 이모(32·대전시 대덕구) 씨는 이 중 2곳은 들어보지도 못한 회사였다고 설명했다.
이 씨는 “모 은행에 대출 문의 이후 자주 전화가 걸려와 짜증이 나는데, 이젠 이용해 본 적도 없는 곳에서까지 전화가 와 미칠 지경”이라며 “개인정보 유출이 의심이 돼 물어보니 내가 개인정보이용동의서에 서명을 했기 때문에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답을 들었다”고 불만섞인 목소리를 냈다.
또 다른 직장인 박모(28·대전시 중구) 씨는 금융사 전화가 올 때마다 다시 전화가 오지 않도록 조치해달라고 부탁했지만 여전히 걸려오는 전화에 직원과 다툰 적이 한 두 번이 아니다.
박 씨는 “개인정보이용에 동의했다 하더라도 해당 금융사에 조치를 요구했으면 더 이상 사용하지 않아야 하는 것이 이미지에 더 좋은 것 아니냐”며 “금융사 측에 조치를 요청했음에도 왜 또다시 전화했냐고 물으면 담당자가 바뀌어 몰랐다고 핑계를 댔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에 대해 금융사 측은 개인정보이용동의서에 서명을 한 고객들에게만 전화를 하고 있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잘라 말했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꼭 우리 회사와 계약한 고객이 아니더라도 타 금융사에서 계좌 및 카드 개설 시 서명하는 개인정보를 정당하게 얻을 수 있어 아무런 하자가 없다”며 “약관을 잘 읽어보지도 않고 무작정 항의하거나 심지어 심한 욕설까지 하는 고객들이 많아 텔레마케터들의 고충도 이만저만 아니다”라고 오히려 고객들에게 화살을 돌렸다.
그러나 실상 개인정보이용동의서에 서명하지 않으면 카드나 은행계좌가 개설조차 되지 않거나 이용에 제한이 되는 등 불편함은 고객들에게 전가되고 있어 소비자들이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