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원내대표가 ‘고비용 저효율’ 정치의 상징으로 여겨져 2004년 폐지됐던 ‘지구당’ 부활 문제에 대한 논의를 통해 공감대를 이룬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2012년 국회의원 총선거 이전에 지구당이 되살아날지 관심을 모으고 있는 가운데 성사여부를 둘러싸고 논란도 예상된다.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10일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 “현행 지역위원회(옛 지구당)의 경우 당원명부도 없고 조직활동도 할 수 없어 근본적으로 정치하기가 어렵다”면서 “어제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박희태 국회의장이나 (한나라당) 김무성 원내대표나 저나 동의했다”고 밝혔다.
박 원대대표는 이어 “현행법(정당법)상 원외 지역위원장들은 사실상 선거법 위반을 하고 있다"며 법 개정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의 이 같은 입장은 저효율·고비용 정당구조의 원흉이라는 비판에 따라 2004년 지구당이 폐지되고 협의체 수준의 당원협의회 제도가 도입됐지만, 현행 협의회가 사실상 변형된 지구당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지구당 폐지 이후에도 현역 의원들이 개인 사무실을 통해 사실상 지역 사무실을 운영해왔고, 원외 위원장들이 형평성 등을 이유로 불만을 제기하면서 지구당 부활 논의가 끊이지 않아왔다는 지적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
이에 따라 2012년 국회의원 총선거 이전에 지구당이 되살아날지 관심을 모으고 있는 가운데 성사여부를 둘러싸고 논란도 예상된다.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10일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 “현행 지역위원회(옛 지구당)의 경우 당원명부도 없고 조직활동도 할 수 없어 근본적으로 정치하기가 어렵다”면서 “어제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박희태 국회의장이나 (한나라당) 김무성 원내대표나 저나 동의했다”고 밝혔다.
박 원대대표는 이어 “현행법(정당법)상 원외 지역위원장들은 사실상 선거법 위반을 하고 있다"며 법 개정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의 이 같은 입장은 저효율·고비용 정당구조의 원흉이라는 비판에 따라 2004년 지구당이 폐지되고 협의체 수준의 당원협의회 제도가 도입됐지만, 현행 협의회가 사실상 변형된 지구당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지구당 폐지 이후에도 현역 의원들이 개인 사무실을 통해 사실상 지역 사무실을 운영해왔고, 원외 위원장들이 형평성 등을 이유로 불만을 제기하면서 지구당 부활 논의가 끊이지 않아왔다는 지적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나인문 기자 nanew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