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문제가 대전시의회와 충남도의회 2010 행정사무감사에서 재점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최근 국회에 계류 중인 ‘세종시 설치법’의 연내 통과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본격적인 세종시 건설을 위한 대전시와 충남도의 대책 마련 등에 의원들의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론 현재 국회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세종시 법적지위와 관할구역과 관련, 연기·공주·청원 등 일선 지자체들의 논쟁이 다툼으로 번지고 있는 부담감도 작용하면서 의원들이 미묘한 입장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도의회 내부에 설립된 세종시 정상추진 지원 특별위원회(이하 세종시 특위)는 충남도의 내포 신도시(도청이전 신도시) 국비확보에 뒷전으로 밀린 세종시 문제를 전면으로 내세우면서 적극적 행보를 예고했다.
자유선진당 윤석우 의원(공주1·세종시 특위 위원장)은 “세종시 문제가 내포 신도시 때문에 수면 아래 가라앉은 상황이다. 이번 행감과 도정질문을 통해 집행부의 적극적 (세종시 추진)활동을 독려하겠다”면서 “세종시 특위 의원들과 함께 내달 16일 국회와 국토해양부 장관을 만나 의견을 전달하겠다”고 강조했다.
윤 의원은 이어 최근의 세종지 지위와 구역 논란에 관해 “최근 (이 문제와 관련해) 민주당에서 슬쩍 발을 빼는 형국이라 정체돼 있다”면서 “국가균형발전의 큰 틀에서 민주당에서 설득하고 이해시켜야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임태수 의원(연기2·세종시 특위 부위원장)은 “충남도에서 어떤 방법론을 결정하지 못해 지켜봐야한다”면서도 “더 강력한 집행부의 활동을 촉구하겠다”고 말했다.
민주당 유병국 의원(천안3)은 “민주당은 세종시를 원안대로 추진하자는 것에 동의하고 있다”면서 세종시 관할구역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세종시가 연기군 잔여지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닥이 잡혔다. 개인적으로 연기군 잔여지역은 그냥 두고 원래대로 연기군 일부와 청원군 일부를 축으로 하는 방안이 좋다”고 주장했다.
충남도의회에 비해 세종시에 대한 체감온도가 다소 낮은 대전시의회는 세종시법 통과와 이에 따른 정부와 대전시의 후속 조치 등을 좀 더 지켜보자는 분위기다.
안필응 시의원(동구3)은 “행감에서 세종시법이 국회에서 통과되지 않은 상황에서 세종시에 대한 대전시의 정책이나 계획에 대해 질의하기에 조심스러운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그러면서도 “대전시는 세종시법이 이번 국회에서 통과되고 내년부터 건설에 속도가 붙을 것을 염두에 두고 대전시와의 상생 발전 방안을 마련해 놓아야 한다”며 “시가 세종시 건설로 인해 이해득실을 따져 대전시가 더욱 발전할 수 있는 전략적 사고를 갖고 행감에서 다룰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
최근 국회에 계류 중인 ‘세종시 설치법’의 연내 통과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본격적인 세종시 건설을 위한 대전시와 충남도의 대책 마련 등에 의원들의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론 현재 국회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세종시 법적지위와 관할구역과 관련, 연기·공주·청원 등 일선 지자체들의 논쟁이 다툼으로 번지고 있는 부담감도 작용하면서 의원들이 미묘한 입장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도의회 내부에 설립된 세종시 정상추진 지원 특별위원회(이하 세종시 특위)는 충남도의 내포 신도시(도청이전 신도시) 국비확보에 뒷전으로 밀린 세종시 문제를 전면으로 내세우면서 적극적 행보를 예고했다.
자유선진당 윤석우 의원(공주1·세종시 특위 위원장)은 “세종시 문제가 내포 신도시 때문에 수면 아래 가라앉은 상황이다. 이번 행감과 도정질문을 통해 집행부의 적극적 (세종시 추진)활동을 독려하겠다”면서 “세종시 특위 의원들과 함께 내달 16일 국회와 국토해양부 장관을 만나 의견을 전달하겠다”고 강조했다.
윤 의원은 이어 최근의 세종지 지위와 구역 논란에 관해 “최근 (이 문제와 관련해) 민주당에서 슬쩍 발을 빼는 형국이라 정체돼 있다”면서 “국가균형발전의 큰 틀에서 민주당에서 설득하고 이해시켜야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임태수 의원(연기2·세종시 특위 부위원장)은 “충남도에서 어떤 방법론을 결정하지 못해 지켜봐야한다”면서도 “더 강력한 집행부의 활동을 촉구하겠다”고 말했다.
민주당 유병국 의원(천안3)은 “민주당은 세종시를 원안대로 추진하자는 것에 동의하고 있다”면서 세종시 관할구역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세종시가 연기군 잔여지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닥이 잡혔다. 개인적으로 연기군 잔여지역은 그냥 두고 원래대로 연기군 일부와 청원군 일부를 축으로 하는 방안이 좋다”고 주장했다.
충남도의회에 비해 세종시에 대한 체감온도가 다소 낮은 대전시의회는 세종시법 통과와 이에 따른 정부와 대전시의 후속 조치 등을 좀 더 지켜보자는 분위기다.
안필응 시의원(동구3)은 “행감에서 세종시법이 국회에서 통과되지 않은 상황에서 세종시에 대한 대전시의 정책이나 계획에 대해 질의하기에 조심스러운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그러면서도 “대전시는 세종시법이 이번 국회에서 통과되고 내년부터 건설에 속도가 붙을 것을 염두에 두고 대전시와의 상생 발전 방안을 마련해 놓아야 한다”며 “시가 세종시 건설로 인해 이해득실을 따져 대전시가 더욱 발전할 수 있는 전략적 사고를 갖고 행감에서 다룰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