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가 추진하는 오송KTX역세권 개발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충북도는 경기 침체로 인해 국내의 투자 여력이 있는 민간투자자 확보가 어려워 오송KTX역세권 개발사업을 유보하기로 했다고 9일 밝혔다.

이는 국내 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대기업 등 자본력이 있는 민간투자자 확보가 쉽지 않고 오히려 부동산 투기만 초래하는 부작용이 우려된 데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도는 이달 중 서울에서 국내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한 오송역세권(158만㎡) 개발 사업설명회를 유보했다.

또 도는 사업설명회 유보와 함께 충북개발공사에 개발 논리, 수익모델 등을 마련하기 위해 용역을 의뢰할 예정이다. 도는 용역결과가 나오는 데로 국내 주요 건설업체 등 민간투자자를 접촉하거나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는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투자 여력이 있는 국내 굴지의 건설업체들을 대상으로 오를 역세권 개발 참여를 권했으나 부동산 경기가 바닥에 있어 기업들이 투자의욕을 상실한 상태”라며 “현 시점에서 민간투자자를 확보하기가 어려워 국내 부동산 경기가 침체 국면을 벗어날 때까지 사업추진을 유보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번 주 중에 오송KTX역세권 개발사업을 위한 연구용역을 발주할 예정”이라며 “용역을 통해 구체적인 개발 계획이 나오면 민간투자자 확보가 더 쉬워질 것"으로 기대했다.

그동안 도는 오송KTX역세권 개발사업 참여 업체 확보를 위해 삼성, 포스코, 대림, 롯데 등 국내 굴지의 건설업체와 접촉을 벌였으나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회의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민간투자자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오송KTX역세권 개발사업이 지연됨에 따라 토지주들의 반발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도는 오송제2생명과학단지 지구 지정과 함께 5년 동안 개발행위 허가 제한에서 풀린 오송역세권의 난개발 방지를 위해 청원군을 통해 개발행위 허가 운영지침을 만들었다. 개발행위 허가 운영지침에 따라 재산권 행사에 제약을 받게 된 토지주들이 반발해왔다.

따라서 오송KTX역세권 개발사업이 진척되지 않고 유보 국면이 장기화될 경우 행정소송 등 토지주들의 실력행사도 우려된다.

도는 오송역세권 개발에 토지 보상비에 부지조성, 기반시설비 등 전체 720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편, 오송역세권 개발사업은 오송생명과학단지와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에 맞춘 바이오관광단지 조성 가능성이 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