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지난 7월 충북도민에게 개방된 도지사 관사(청주시 상당구 수동)가 도민들의 발길이 뜸해지면서 애물단지로 전락할 처지에 놓였다. 이덕희 기자 withcrew@cctoday.co.kr | ||
개방 후 문화·예술공간으로 탈바꿈되긴 했지만 눈길을 끌만한 공연·전시가 없는데다 낮은 접근성 등의 문제로 도민들의 발길이 뜸해지면서 ‘텅빈 집’이 되고 있다.
충북도는 권위주의의 상징인 관사는 민선시대에 맞지 않는다는 이 지사의 뜻에 따라 지난 7월 9일 9121㎡에 본관, 창고, 경비실 등 건물 630㎡ 규모의 지사 관사를 개방했다.
도는 도민제안센터와 도청 직원들의 의견수렴을 거쳐 관사의 상징성 등을 고려해 원형을 최대한 보전하면서 전시실, 미술관 등 문화·휴식 공간 등으로 활용키로 했다.
당초 미술관·전시장 등 문화공간과 도정홍보관, 어린이집 등 3가지 방안이 거론됐다.
서관 1층 도정홍보관으로 활용하면 초청인사를 도청에서 100여m 떨어진 관사까지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어린이집 활용시에는 다른 보육시설의 항의가 있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 문화공간으로 결정했다.
이 지사는 특히 주민들에게 "관사를 한국판 몽마르트르 언덕이나 서울 인사동 골목처럼 목공예·석공예 등 고풍이 나도록 개발하도록 하겠다"고 밝혔었다.
하지만 검토단계에만 머무르고 구체적 계획이 나오지 않다보니 개방 초기와 달리 최근들어 주민들의 발길이 뜸해지고 있다.
주민 김성임(36·여) 씨는 “아이들에게 지사관사라는 상징적 의미를 일깨워주고 싶어 관사를 두차례 찾았는데 볼거리가 없다”고 했고, 양훈석(33) 씨도 “관사만 개방해놓고 도민들의 발길을 끌 수 있는 다른 방안은 갖춰져 있지 않다보니 무료함이 들 정도”라고 말했다.
활용처를 찾지 못해 고심하던 충북도는 급기야 최근 3600만 원이라는 혈세를 들여 충북개발연구원에 연구용역을 맡겼다.
충북개발연구원은 관사활용도를 높이고 명소화를 위한 활용방안을 찾기 위해 이달부터 5개월 간 연구·조사활동을 벌여 내년 3월 최종보고회를 열 예정이다. 용역결과가 나와봐야 알겠지만 도청 내부에서는 관사활용에 있어 각종 제약이 많다보니 제한적 방안이 나올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우선 관사가 2007년 9월 21일 근대문화유산으로 문화재에 등록되면서 ‘원형유지’라는 필수적 조건이 있어 시설개수(改修)를 통한 신규활용처 마련이 쉽지않다.
관사와 우암산을 연결하는 산책도로 개설 방안도 관사 인근 부지가 향교재단 소유로 사용시 협의절차가 필요하다.
주차시설도 갖춰져 있지 않은데다 관사 앞 도로마저 협소한 탓에 접근성마저 떨어지는 등 시설·주변환경 등에서 제약사항이 많다.
사전에 활용방안을 마련하지 않은 채 일단 개방부터 해놓은 충북도가 궁여지책으로 ‘아이디어 구매’를 위한 용역발주 카드를 꺼내면서 5개월 후 나올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도 관계자는 “제약이 많다보니 뾰족한 활용처를 찾지 못한 것은 사실이다. 전문가 의견수렴을 위해 연구용역을 발주한 것”이라며 “활용처를 찾기 위해 세금을 들인만큼 좋은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성진 기자 seongjin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