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와 경북도가 도청이전 신도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국가지원 확대 등을 골자로 한 ‘대정부 공동건의문’을 채택했다.
양 도는 8일 경북도청 대강당에서 안희정 충남지사, 김관용 경북지사, 유병기 충남도의회 의장, 이상효 경북도의회 의장을 비롯해 양 도의회 상임위·특위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충남·경북 도청이전신도시 조성사업’의 성공추진을 위한 공동건의문을 채택하고, 양 도의 공조체계를 공고화하기로 했다.
양 도는 이번 공조를 통해 △이전하는 신청사 국비지원을 현 청사의 공시지가 기준에서 타 도의 지원선례를 감안해 ‘신청사 건립비 전액 지원’으로 △도청이전 신도시의 도로 및 상·하수도, 폐기물처리시설 등 기반시설 설치에 있어 실제적인 국비지원이 될 수 있도록 관련법 명시 △도청이전 신도시에 입주하는 기업 및 연구소 등에 대해 혁신도시와 세종시 수준의 세제혜택과 인센티브 부여 방안의 법제화 등 3개의 공동건의문을 채택했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청사 건립문제는 장차 어떠한 정부를 갖는가에 대한 선견지명과 철학이 들어가야 한다”며 “미래의 지방정부가 할 일이 더욱 많아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지금 당장 걱정의 소리를 듣더라도 백년대계를 생각해 미래 정부에 걸맞은 청사규모가 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안 지사는 또 “미래에 있어 도의 기능은 장차 광역경제종합센터의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현재의 정부·시·도 등 행정 단계가 어떤 방식으로 논의 된다고 해도 대통령 혼자 대한민국을 이끌지 못하며 대통령에 걸려있는 과부하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관용 경북지사는 “중앙도 지자체가 얼마나 (재정적으로) 절박하고 어려운지 알아야 할 문제”라며 “양 도의 공조가 단순 도청이전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공조를 넘어 문화적, 광역단체 간 새로운 협력의 틀을 만들어 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양 도는 8일 경북도청 대강당에서 안희정 충남지사, 김관용 경북지사, 유병기 충남도의회 의장, 이상효 경북도의회 의장을 비롯해 양 도의회 상임위·특위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충남·경북 도청이전신도시 조성사업’의 성공추진을 위한 공동건의문을 채택하고, 양 도의 공조체계를 공고화하기로 했다.
양 도는 이번 공조를 통해 △이전하는 신청사 국비지원을 현 청사의 공시지가 기준에서 타 도의 지원선례를 감안해 ‘신청사 건립비 전액 지원’으로 △도청이전 신도시의 도로 및 상·하수도, 폐기물처리시설 등 기반시설 설치에 있어 실제적인 국비지원이 될 수 있도록 관련법 명시 △도청이전 신도시에 입주하는 기업 및 연구소 등에 대해 혁신도시와 세종시 수준의 세제혜택과 인센티브 부여 방안의 법제화 등 3개의 공동건의문을 채택했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청사 건립문제는 장차 어떠한 정부를 갖는가에 대한 선견지명과 철학이 들어가야 한다”며 “미래의 지방정부가 할 일이 더욱 많아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지금 당장 걱정의 소리를 듣더라도 백년대계를 생각해 미래 정부에 걸맞은 청사규모가 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안 지사는 또 “미래에 있어 도의 기능은 장차 광역경제종합센터의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현재의 정부·시·도 등 행정 단계가 어떤 방식으로 논의 된다고 해도 대통령 혼자 대한민국을 이끌지 못하며 대통령에 걸려있는 과부하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관용 경북지사는 “중앙도 지자체가 얼마나 (재정적으로) 절박하고 어려운지 알아야 할 문제”라며 “양 도의 공조가 단순 도청이전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공조를 넘어 문화적, 광역단체 간 새로운 협력의 틀을 만들어 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