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테크노폴리스(이하 청주TP)에 대한 청주시의 현금출자 계획이 무산된 가운데 시가 환매를 추진하려는 흥덕구 가경동 일원 상업용지를 두고 뒷말이 무성하다.

이와 함께 갈수록 불투명해지고 있는 사업전망 속에 무리하게 기존 계획만을 고집하는 것은 오히려 더 큰 손실을 부를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실거래가 턱없이 모자라

시는 지난 3일 심각한 재정난을 겪고 있는 청주TP를 위해 지난 2008년 현물로 출자한 흥덕구 가경동 상업용지 1000여 ㎡를 20억 원에 재매입하려 했으나 시의회의 제동으로 무산됐다.

문제는 해당 상업용지의 실제가치가 20억 원에 턱없이 모자란다는 것.

4일 시와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시가 이 상업용지를 청주TP에 출자할 당시만 해도 부동산경기 호황에 따른 지가상승으로 감정평가 결과 20억 원 정도로 평가됐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현재는 부동산경기 하락과 해당지역 상권침체로 지가가 상당히 떨어진 상태다. 더욱이 해당 용지가 숙박시설이 집중돼 있는 지역에 끼어있어 활용도마저 떨어져, 실거래가가 공시지가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게 업계의 설명이다.

인근 부동산업계 한 관계자는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해당용지의 가격을 매긴다면 12억 원정도 되겠지만 활용도가 워낙 떨어지다 보니 일반에서는 이보다 낮은 가격에도 실거래가 이뤄질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주먹구구식 행정 노출

이 땅이 청주시의 소유가 된 것은 지난 1996년 12월이다. 당시 가경지구의 택지개발을 실시했던 충북도공영개발사업소가 사업완료 후 개발잉여금 반환 과정에서 시에 현금 대신 이 용지를 준 것.

그러나 실상은 택지개발지구내 상업지구를 모두 분양한 뒤 활용도가 낮아 마지막까지 분양되지 않아 처치가 곤란했던 땅을 개발잉여금 반환용으로 활용한 것이라는 후문이다.

시 또한 애매한 이 용지를 청주TP에 출자하기 전까지 전혀 활용치 못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서류상 20억 원의 가치를 가지고 있지만 실제 활용은 할 수 없는 땅이었던 것이다.

이같은 사실을 너무나도 잘 알고 있는 시가 청주TP에 이 땅을 현물로 출자하고, 또다시 2010년까지 환매하겠다는 주주협약을 체결한 게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결국 시가 서둘러 사업추진을 진행하면서 현금 출자가 여의치 않자 궁여지책으로 현물로 출자한 뒤 상식에 어긋나는 환매조건을 주주협약에 명시했고, 이같은 사실을 감춰온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갈수록 어두워지는 사업전망

전반적인 청주TP 조성사업의 전망도 갈수록 어두워지고 있다.

현물 출자를 제외한 자본금 80억 원을 대부분 소진한 약 2년 동안 행정절차를 밟은 것 외엔 사실상 사업진전이 없기 때문이다.

사업의 관건으로 꼽히는 금융권 PF(프로젝트 파이낸싱)도 사실상 물건너 간 것 아니냐는 회의적 전망도 적지 않다.

주주로 참여하고 있는 산업은행이 PF 재개에 난색을 표하고 있는 진짜 이유가 단순히 부동산경기 침체가 아니라 사업 전망 자체를 어둡게 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와 관련 일각에서는 자금을 대야 하는 산업은행의 경우 청주시를 포함한 신영, 대우건설 등 나머지 6개 주주가 보증을 서기 때문에 그만큼 안전한 입장임에도 선뜻 사업강행 결정을 내리지 않는 것이 바로 그 반증이라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다.

한 지역인사는 "15%의 지분을 가지고 있는 주주인 산업은행이 돈을 댈 수 없다고 한다면 이미 끝난 것 아니겠느냐"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예산투입을 지양하고 서둘러 사업전환 또는 전면재검토 등의 결단을 내려야 더 큰 손실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