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희정 충남지사가 4대강(금강) 사업 중 금강보·부여보 건설 중지 등의 입장을 밝힌 것에 대해 국토해양부 산하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이 ‘수용 불가’ 답변을 내놨다. 충남도의 4대강 사업 중지 요청에 정부가 사실상 ‘강행’ 입장을 표명한 것이어서 향후 충남도의 대응에 귀추가 주목된다.
대전지방국토관리청 유인상<사진> 청장은 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자유선진당 주최로 열린 ‘4대강(금강) 사업 정책간담회’에 참석해 “3일 현재 금강보 67.5%, 부여보 50.7%의 공정이 진행된 상태”라며 “현 시점에서 사업 중단은 불가능하다”고 이 같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유 청장은 “보에는 개·폐가 가능한 다기능 수문이 설치되고, 정기적으로 수문을 개방해 퇴적물을 방출, 물 순환이 이뤄지기 때문에 수질오염 우려는 없다”며 보 설치로 인한 수질 오염 우려를 제기한 충남도의 주장을 사실상 반박했다.
그는 또 왕흥사지~고마나루 구간 대규모 준설을 재조정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선 “왕흥사지 문화재 지정구역은 준설 폭을 축소해 준설을 제외하는 등 금강 살리기 사업으로 인한 역사유적의 훼손은 없다”며 “미흡한 부분은 문화재청 등 관계 기관과 지속적으로 협의해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간담회에 함께 참석한 문화재청 엄승용 문화재정책국장도 “금강사업은 고도(古都)육성사업과 연계시켜 고도로써 지역발전 계기로 발전시킬 필요성이 있다”며 유 청장을 거들었다.
이에 대해 김창수 의원(대전 대덕)은 “충남도에서 결론을 내렸는데 그 과정에서 부여군, 문화재청, 대전국토관리청과 상호 대화나 협의가 있었는가”라고 물은 후 “4대강 사업의 수중지표, 발굴조사 등이 선행돼야 하는데 4대강은 그렇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임영호 의원(대전 동구)은 “4대강이 속도전으로 가다보니 중앙과 지방 간 이견이 노출됐는데 점진적·단계적으로 추진해야 문제의 소지가 적어진다”고 강조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대전지방국토관리청 유인상<사진> 청장은 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자유선진당 주최로 열린 ‘4대강(금강) 사업 정책간담회’에 참석해 “3일 현재 금강보 67.5%, 부여보 50.7%의 공정이 진행된 상태”라며 “현 시점에서 사업 중단은 불가능하다”고 이 같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유 청장은 “보에는 개·폐가 가능한 다기능 수문이 설치되고, 정기적으로 수문을 개방해 퇴적물을 방출, 물 순환이 이뤄지기 때문에 수질오염 우려는 없다”며 보 설치로 인한 수질 오염 우려를 제기한 충남도의 주장을 사실상 반박했다.
그는 또 왕흥사지~고마나루 구간 대규모 준설을 재조정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선 “왕흥사지 문화재 지정구역은 준설 폭을 축소해 준설을 제외하는 등 금강 살리기 사업으로 인한 역사유적의 훼손은 없다”며 “미흡한 부분은 문화재청 등 관계 기관과 지속적으로 협의해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간담회에 함께 참석한 문화재청 엄승용 문화재정책국장도 “금강사업은 고도(古都)육성사업과 연계시켜 고도로써 지역발전 계기로 발전시킬 필요성이 있다”며 유 청장을 거들었다.
이에 대해 김창수 의원(대전 대덕)은 “충남도에서 결론을 내렸는데 그 과정에서 부여군, 문화재청, 대전국토관리청과 상호 대화나 협의가 있었는가”라고 물은 후 “4대강 사업의 수중지표, 발굴조사 등이 선행돼야 하는데 4대강은 그렇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임영호 의원(대전 동구)은 “4대강이 속도전으로 가다보니 중앙과 지방 간 이견이 노출됐는데 점진적·단계적으로 추진해야 문제의 소지가 적어진다”고 강조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