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서실장 처남채용’ 논란으로 곤혹을 치른 민주당 소속 홍재형(청주상당) 국회부의장이 이번에는 3급 비서관 채용문제로 도마 위에 올랐다.

부의장 취임직후 지역구 보좌관(4급)을 부의장실 소속 3급 비서관으로 승진·임용해놓고 정작 비서관 업무가 아닌 지역구 관리만 맡기고 있는 것.

지역정가에서는 ‘보좌관제도 변칙 운용’이라는 지적과 함께 비서실장 처남 임용, 노영민 의원 아들 보좌관 채용 등을 상기하며 곱지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3일 국회 사무처 등에 따르면 지난 6월 국회 부의장에 선출된 홍 부의장은 같은 달 지역구 보좌관(4급)인 A 씨를 부의장실 비서관으로 채용했다.

부의장 비서관은 국회 사무처 직급 체계상 3급에 해당한다. 부의장실에는 1급 상당의 비서실장과 비서관, 4급 보좌관(2명) 등이 부의장 업무를 보좌하고 있다. 비서관과 보좌관은 부의장이 국회 사무총장에게 임용요청서만 제출하면 된다. 사무총장은 경찰청에 의뢰해 전과 등 공무원으로서 결정적 흠결이 없으면 채용을 허가해준다.

A 비서관도 정식적인 절차를 거쳐 임용됐다. 임용 전까지는 지난 2000년부터 줄곧 홍 부의장의 지역구 보좌관으로 근무해왔다. 하지만 홍 부의장의 비서실장 채용 논란이 가라앉기도 전에 이번에는 A 비서관의 임용문제로 정가가 시끌시끌하다.

논란의 요지는 A 비서관의 근무체계와 방식이다. 비서관으로 승진·임용됐으면 소속인 국회 부의장실에서 근무하며 홍 부의장을 보좌하고 비서실장의 업무를 보조하는 게 원칙이다. 하지만 A 비서관의 경우 서류상으로만 국회 사무처에 등재해놓고 실질적으로는 지역구 관리를 위한 보좌관 업무를 보고 있다는 것.

국회 사무처 관계자는 “A 비서관의 경우 신분이 국회의원 보좌관이 아닌 국회부의장실 소속이기 때문에 부의장실에서 비서관 업무를 해야 하는 게 원칙”이라면서 “출퇴근을 하지 않고 지역구만 관리한다면 부의장 지시에 따른 것 아니겠냐”고 말했다.

국회부의장실 소속 비서관에 임용시켜놓고 정작 본연의 업무가 아닌 국회의원 보좌관이 하는 지역구관리를 하면서 보좌관제도를 변칙적으로 운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이다. 특히 국회 정무직에 선출됐을 경우 국회 업무에 능숙하고 전문성을 인정받은 당직자나 공채모집을 통한 신규인력을 비서진으로 채용하는 관행에도 어긋난다는 게 중론이다.

한 정당인은 “보좌관임용은 의원의 재량이라는 점을 악용해 보좌관을 승진시켜주기 위한 변칙적인 임용절차나 마찬가지”라고 꼬집은 뒤 “바꿔 말한다 해도 엄연히 부의장실에서 국회업무를 봐야하는 직원에게 개인의 지역구 관리를 맡긴 것 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상식에도 어긋나고 국민정서에도 반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충북도당 관계자는 “홍재형 의원이 부의장으로 선출됨에 따라 A 보좌관이 비서관으로 자동승진된 것”이라며 “근무방식이나 영역에 있어서는 보좌관이기 때문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하성진 기자 seongjin98@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