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가 강의를 하지 않은 비 전임교수에게 고액 연봉을 지급한 의혹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최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박영아(한나라당)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KAIST는 지난 2008년부터 전문교수와 초빙교수 등 156명 가운데 강의를 전혀 하지 않은 65명에게 22억 6393만 원을 지급했다는 것.
이들 가운데는 전직 장관 등이 포함돼 있다.
이에 대해 KAIST측은 해당 교수들이 강의는 하지 않았어도 각종 포럼과 자문위에서 활동, 연구지도 등을 수행했다고 해명했다.
KAIST 관계자는 “KAIST가 각계 외부 전문가를 초빙한 목적은 금융과 과학기술정책, 해양시스템공학 등의 분야에 대한 높은 식견과 경륜을 학생들에게 전수하고 교과목 개발과 정책자문 등에 폭넓게 활용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를 정치적으로 해석하려는 것은 무리”라고 밝혔다.
또 “향후 비 전임직 교원에 대한 채용과 처우기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개선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혔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최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박영아(한나라당)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KAIST는 지난 2008년부터 전문교수와 초빙교수 등 156명 가운데 강의를 전혀 하지 않은 65명에게 22억 6393만 원을 지급했다는 것.
이들 가운데는 전직 장관 등이 포함돼 있다.
이에 대해 KAIST측은 해당 교수들이 강의는 하지 않았어도 각종 포럼과 자문위에서 활동, 연구지도 등을 수행했다고 해명했다.
KAIST 관계자는 “KAIST가 각계 외부 전문가를 초빙한 목적은 금융과 과학기술정책, 해양시스템공학 등의 분야에 대한 높은 식견과 경륜을 학생들에게 전수하고 교과목 개발과 정책자문 등에 폭넓게 활용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를 정치적으로 해석하려는 것은 무리”라고 밝혔다.
또 “향후 비 전임직 교원에 대한 채용과 처우기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개선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혔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