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원경찰법 입법로비 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가 확대되면서 그 불똥이 충북에까지 튀고 있어 지역정가가 어수선하다.
보은군에 근무하는 전국청원경찰친목협의회(이하 청목회) 회장 최모(56) 씨 등 3명이 구속되고, 연루된 의원 가운데 충북지역 국회의원 일부가 포함된 것으로 전해져 정치권이 긴장상태다.
서울북부지검 형사6부는 지난달 26일 청목회장 최 씨의 보은군 자택과 사무실을 압수수색해 후원금을 받은 현직 국회의원 33명의 이름이 적힌 문건 등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후원금 입금내역 등 회계자료뿐 아니라 청목회가 로비 대상으로 정한 국회의원 33명 등의 이름이 적힌 문건이 존재함에 따라 검찰은 청목회가 의도를 갖고 조직적으로 움직였을 개연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청목회 특별회비 8억 원 중 의원 33명에게 계좌를 통해 전달된 것으로 확인된 2억 7000만 원 외의 액수가 이들 의원에게 직접 현금으로 건네졌을 수도 있다고 보고 수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청목회가 청원경찰의 처우개선 내용을 담은 청원경찰법 개정을 위해 2008~2009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의원들에게 500만~5000만 원을 건넨 정황과 단서를 포착해 수개월 동안 내사를 벌여왔다.
입법로비 의혹과 관련해 충북에선 A 의원이 수사대상에 오른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A 의원 보좌관이 청목회로부터 500만 원을 받았다는 정황을 포착, 이 돈이 실제 A 의원의 후원금으로 사용됐는지 여부를 파악 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A 의원 보좌관은 충청투데이와의 전화통화에서 “청목회로부터 매달 10만 원씩 500만 원을 받은 것은 사실이지만 불법자금이 아닌 정상적인 정치후원금”이라고 주장했다.
검찰은 그러나 이 돈이 실제 A 의원의 후원계좌로 흘러들어 간 게 아니라 보좌관이 착복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수사를 벌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조만간 A 의원 보좌관을 소환해 조사하는 등 수사에 박차을 가할 계획이어서 지역정가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역정가의 한 인사는 “충북에서 특정 의원의 보좌관 실명이 거론되며 ‘중간에 배달사고를 낸 것이다’, ‘청목회로부터 돈봉투를 받았다’ 등의 소문이 나돌고 있어 정가가 어수선하다”고 말했다.
하성진 기자 seongjin98@cctoday.co.kr
보은군에 근무하는 전국청원경찰친목협의회(이하 청목회) 회장 최모(56) 씨 등 3명이 구속되고, 연루된 의원 가운데 충북지역 국회의원 일부가 포함된 것으로 전해져 정치권이 긴장상태다.
서울북부지검 형사6부는 지난달 26일 청목회장 최 씨의 보은군 자택과 사무실을 압수수색해 후원금을 받은 현직 국회의원 33명의 이름이 적힌 문건 등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후원금 입금내역 등 회계자료뿐 아니라 청목회가 로비 대상으로 정한 국회의원 33명 등의 이름이 적힌 문건이 존재함에 따라 검찰은 청목회가 의도를 갖고 조직적으로 움직였을 개연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청목회 특별회비 8억 원 중 의원 33명에게 계좌를 통해 전달된 것으로 확인된 2억 7000만 원 외의 액수가 이들 의원에게 직접 현금으로 건네졌을 수도 있다고 보고 수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청목회가 청원경찰의 처우개선 내용을 담은 청원경찰법 개정을 위해 2008~2009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의원들에게 500만~5000만 원을 건넨 정황과 단서를 포착해 수개월 동안 내사를 벌여왔다.
입법로비 의혹과 관련해 충북에선 A 의원이 수사대상에 오른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A 의원 보좌관이 청목회로부터 500만 원을 받았다는 정황을 포착, 이 돈이 실제 A 의원의 후원금으로 사용됐는지 여부를 파악 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A 의원 보좌관은 충청투데이와의 전화통화에서 “청목회로부터 매달 10만 원씩 500만 원을 받은 것은 사실이지만 불법자금이 아닌 정상적인 정치후원금”이라고 주장했다.
검찰은 그러나 이 돈이 실제 A 의원의 후원계좌로 흘러들어 간 게 아니라 보좌관이 착복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수사를 벌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조만간 A 의원 보좌관을 소환해 조사하는 등 수사에 박차을 가할 계획이어서 지역정가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역정가의 한 인사는 “충북에서 특정 의원의 보좌관 실명이 거론되며 ‘중간에 배달사고를 낸 것이다’, ‘청목회로부터 돈봉투를 받았다’ 등의 소문이 나돌고 있어 정가가 어수선하다”고 말했다.
하성진 기자 seongjin98@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