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보물 제1672호로 지정된 ‘송준길 행초 서증손병하’. | ||
대전 회덕 동춘당, 예념미타도량참법, 금관조복본, 이시방초상, 성수침필적, 통영측우대.
이들 여섯점에 이어 ‘송준길 행초 서증손병하’가 보물 제1672호로 지정됐습니다.
이로써 대전은 총 7점의 보물을 가지게 되었네요.
‘송준길 행초 서증손병하’는 올해 문화재청 동종문화재 지정사업인 ‘우리나라 옛 글씨(조선후기 명필)’ 공모에서 대전 선사박물관이 응모해 지정된것이랍니다.
1669년(현종10년) 4월, 64세의 할아버지인 송준길이 손자 송병하(宋炳夏, 1646~1697)를 위해 써준 글씨로 송(宋)나라 양시(楊時)의 칠언절구인 ‘저궁관매기강후(渚宮觀梅寄康侯)’를 장지 넉 장을 이어 붙여 대자 행초 글씨체로 쓴 것이지요.
말미에 ’숭정기유청화 춘옹서증손병하(崇禎己酉淸和 春翁書贈孫炳夏·숭정 기유년 4월에 춘옹 동춘당이 손자 병하에게 써줌)’이라고 글의 사연을 밝히고 있구요.
우리 지역에서는 여러 비문에서 동춘당 선생의 단아한 글씨를 만날 수 있는데, 특히 이 글씨는 세로 177.8㎝, 가로 77.6㎝로 동춘당이 남긴 여러 필적 가운데 규모가 제일 크다고 합니다.
글과 글씨는 마음을 담는 것이라지요. 동춘당 선생이 특별히 아끼고 사랑했다는 둘째 손자를 위하여 써 주셨다는 ’渚宮觀梅寄康侯’
봄 날, 동춘당 선생은 이 글에 어떤 마음을 담아 손자에게 보냈을까요?
△저궁(渚宮)에 매화를 보고 강후에게 보내며 - 양시(楊時, 1053~1135) |
나무3 http://blog.daum.net/namu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