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의 봉사활동 시간 부풀리기가 만연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기관까지 나서 봉사활동 시간 인증을 행정편의를 위한 도구로 활용하고 있어 당초 취지가 무색해지고 있다.

봉사활동은 ‘인성교육 강화’를 위해 도입됐지만 학생들 사이에선 조금만 봉사하고도 많은 시간을 인정해주는 기관과 장소를 공유하는 문화가 형성되고 있다. 또 일부 학부모들은 편법을 동원해 자녀의 봉사활동 시간을 인정 받는 부작용까지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정부기관까지 관련 업무 추진을 위한 ‘당근’으로 봉사활동 시간 인정을 활용하면서 학생들의 봉사활동 시간 부풀리기를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통계청은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를 실시하면서 인터넷 참여를 학생 봉사활동으로 인정하고 있다.

일선 학교와 자원봉사단체 등이 ‘상식에 어긋나는 행정편의주의적 발상’이라며 비판을 가했지만 통계청은 ‘공익사업의 원활한 수행’을 명분으로 봉사활동 시간을 인정하고 있다.

통계청은 학생들이 가족과 함께 조사에 참여했을 때 봉사활동 확인서를 발급한다는 입장이지만 사실상 학생 참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더욱이 인터넷 조사에 걸리는 시간은 대략 10분 정도에 불과해 학부모들 사이에선 손쉽게 자녀들의 봉사활동 2시간을 채울 수 있는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동안 일선학교의 봉사활동은 시·도교육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일부 부작용이 나타나면서 본래 취지를 제대로 살리지 못했다.

지난해 대전과 충남지역 일부 학교들은 봉사활동 시간을 임의로 규정보다 많게 인정하거나 학교 교육과정에 배당된 봉사활동 시간을 운영하지 않고도 운영한 것으로 인정해 종합감사에서 주의를 받기도 했다.

일부 학교에선 봉사활동 시간을 채우지 못한 학생들을 방학기간 등교시켜 굳이 필요하지 않은 청소 등을 시킨 뒤 의무 시간을 채우는 곳도 있었다.

또 모 중학교는 지난 8월 소년체전 당시 학교 소속 운동부 경기 응원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봉사활동 시간을 인정해 지적을 받기도 했다.

심지어 일부 입시 컨설팅 업체들이 돈을 받고 원하는 대학에 맞는 맞춤형 봉사활동 시간을 대신 받아준다는 소문까지 돌고 있다.

봉사활동은 학생들의 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전인교육 차원에서 도입돼 현재 중학생은 각 학교별로 연간 20시간 가량을 의무적으로 이수하도록 하고 있고 고교생은 본인의 진로를 위한 선택사항이다.

학생들의 봉사활동 실적은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되며 고입 내신성적과 대학 진학 시 입학사정관제 전형에 중요 자료로 반영된다.

특히 최근 전국 주요 대학들은 물론 자율형사립고와 자율형공립고 입시에 입학사정관제 전형이 도입되면서 봉사활동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한 봉사단체 관계자는 “학생들의 봉사활동이 본래 취지대로 잘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까지 나서 본래 취지를 왜곡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이런 방식이라면 편하게 컴퓨터 앞에 앉아 확인서를 받을 수 있는 데 누가 힘든 곳에서 봉사하려 들겠느냐”고 우려를 표했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