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절기를 앞두고 도시가스가 보급되지 않는 지역의 사회적 배려 대상자에 대한 충남도의 에너지 지원 대책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에너지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한 정책추진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충남도에 따르면 도내 사회적 배려 대상자를 중심으로 시행하고 있는 에너지 수급 정책의 핵심은 도시가스 요금 경감 및 공급중단 유예제도로 집약되고 있다.
그러나 도의 ‘도시가스 수급계획 및 현황’을 살펴보면 금산과 청양, 부여지역에는 도시가스 시설자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지역은 사실상 이 같은 에너지 수급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실정이다.
또한 도시가스 시설이 마련된 지역이라고 하더라도 가스 배관 시설 등 인프라가 구축되지 못한 주변 지역에서는 어쩔 수 없이 도시가스 보다 비싼 LPG나 석유 등을 연료로 사용할 수밖에 없어 에너지 수급대책이 ‘그림의 떡’에 불과하다.
현재 충남도 도시가스 권역별 공급현황을 살펴보면 권역 내 총 가구인 80만 7536 가구 중 34만 2730가구만 해당돼 42.5%의 공급률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도시가스 보급률이 전국 평균 73%에 달하는 것을 감안할 때 크게 뒤떨어진 수준으로 도시가스 공급을 위한 인프라 확충이 시급한 현안으로 떠오른 상태.
게다가 도내에는 농·어촌 및 시골지역이 넓게 분포하고 있어 도시가스 인프라를 건설한다해도 시설비를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비용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아울러 저소득 가구에 대해서는 연탄 쿠폰 등을 지급하고 있으나 이마저도 정부 사업으로 추진되고 있어 사회적 배려 대상자를 위한 도 차원의 대책마련이 절실한 것으로 지적된다.
도 관계자는 “현재로선 도 차원에서 내놓을만한 대책이 사실상 없다”며 “국가에서 저소득층 등 사회적 배려 대상자를 위한 유류 및 LPG 지원 등 다양한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사회적 배려 대상자는 기초생활수급자, 1~3급 장애인, 국가유공자 중 장애등급 판정자를 비롯해 독립유공자가 거주하는 주택이 해당된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충남도에 따르면 도내 사회적 배려 대상자를 중심으로 시행하고 있는 에너지 수급 정책의 핵심은 도시가스 요금 경감 및 공급중단 유예제도로 집약되고 있다.
그러나 도의 ‘도시가스 수급계획 및 현황’을 살펴보면 금산과 청양, 부여지역에는 도시가스 시설자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지역은 사실상 이 같은 에너지 수급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실정이다.
또한 도시가스 시설이 마련된 지역이라고 하더라도 가스 배관 시설 등 인프라가 구축되지 못한 주변 지역에서는 어쩔 수 없이 도시가스 보다 비싼 LPG나 석유 등을 연료로 사용할 수밖에 없어 에너지 수급대책이 ‘그림의 떡’에 불과하다.
현재 충남도 도시가스 권역별 공급현황을 살펴보면 권역 내 총 가구인 80만 7536 가구 중 34만 2730가구만 해당돼 42.5%의 공급률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도시가스 보급률이 전국 평균 73%에 달하는 것을 감안할 때 크게 뒤떨어진 수준으로 도시가스 공급을 위한 인프라 확충이 시급한 현안으로 떠오른 상태.
게다가 도내에는 농·어촌 및 시골지역이 넓게 분포하고 있어 도시가스 인프라를 건설한다해도 시설비를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비용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아울러 저소득 가구에 대해서는 연탄 쿠폰 등을 지급하고 있으나 이마저도 정부 사업으로 추진되고 있어 사회적 배려 대상자를 위한 도 차원의 대책마련이 절실한 것으로 지적된다.
도 관계자는 “현재로선 도 차원에서 내놓을만한 대책이 사실상 없다”며 “국가에서 저소득층 등 사회적 배려 대상자를 위한 유류 및 LPG 지원 등 다양한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사회적 배려 대상자는 기초생활수급자, 1~3급 장애인, 국가유공자 중 장애등급 판정자를 비롯해 독립유공자가 거주하는 주택이 해당된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