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복지관련 분야를 강화하기 위한 조직개편안을 발표한 가운데 예산확보를 비롯해 정책 발굴, 정부와의 연계활동, 업무 프로세서 개선 등 실무차원의 복지정책 마련에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도는 지난 19일 고령화저출산을 도정 최대의 선결 과제로 선정하고 현행 유사·중복 및 쇠퇴하는 기능을 통폐합하고 중앙부처 연계성에 방점을 둔 조직개편안을 발표했다.
특히 도는 고령화저출산의 적극적 대응을 위해 현재 따로 운영 중인 노인복지와 저출산 대책을 함께 묶어 저출산고령화대책 담당부서로 통합하고 업무기능의 효율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현재 여성가족정책관 산하에 운영 중인 보육지원부서도 신설되는 복지보건국으로 편입해 육아부터 노인대책까지 일관성 있게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내보였다.
고령화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첫 번째 단추로 도정 조직의 전문적 기능을 분야별로 통합하고 인력 보강 및 역할 강화 등 큰 틀에 있어 조직 효율화에 집중한다는 설명이다.
도 관계자는 “이번 개편을 통해 현재 시·군별, 조직별로 각각 추진되는 복지 관련 사업을 도에서 일관되게 관리·운영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통해 필요한 복지정책에 대해 정책화 및 법제화를 좀 더 효율적으로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도는 지난 19일 고령화저출산을 도정 최대의 선결 과제로 선정하고 현행 유사·중복 및 쇠퇴하는 기능을 통폐합하고 중앙부처 연계성에 방점을 둔 조직개편안을 발표했다.
특히 도는 고령화저출산의 적극적 대응을 위해 현재 따로 운영 중인 노인복지와 저출산 대책을 함께 묶어 저출산고령화대책 담당부서로 통합하고 업무기능의 효율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현재 여성가족정책관 산하에 운영 중인 보육지원부서도 신설되는 복지보건국으로 편입해 육아부터 노인대책까지 일관성 있게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내보였다.
고령화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첫 번째 단추로 도정 조직의 전문적 기능을 분야별로 통합하고 인력 보강 및 역할 강화 등 큰 틀에 있어 조직 효율화에 집중한다는 설명이다.
도 관계자는 “이번 개편을 통해 현재 시·군별, 조직별로 각각 추진되는 복지 관련 사업을 도에서 일관되게 관리·운영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통해 필요한 복지정책에 대해 정책화 및 법제화를 좀 더 효율적으로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