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청지역 대학의 수도권 이전이 가시화될 전망이다.
특별법에 따라 경기도 내 미군기지 이전 부지에 타 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이전, 증설이 가능해져 비수도권 대학들의 이전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25일 경기도2청에 따르면 최근 동두천시 미군반환기지에 대전·충청권 소재 모 4년제 대학의 이전 방안을 논의했다.
이 대학의 총장 일행은 지난 16일 이전 부지를 방문했고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직접 현장을 안내하며 대학 이전에 관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 대학은 오는 2013년 신입생 모집을 목표로 대학원과 일부 학과의 이전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도와 이 대학은 조만간 대학 이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대학이전 승인 등 행정적인 절차가 진행될 경우 오는 2012년 착공이 가능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충청권 소재 대학이 수도권인 경기도로 이전이 가능하게 된 것은 지난 6월 공포·시행된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지원특별법 시행령' 개정안에 따른 것이다.
특별법에 학교의 이전이나 증설에 대해서는 수도권 과밀화를 막기 위한 '수도권정비계획법'을 적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특례조항이 명시돼 있기 때문이다.
이미 비수도권인 전북 임실에 위치한 예원예술대가 특별법에 의해 수도권인 경기도 양주시로의 이전을 확정했다.
예원예술대는 양주캠퍼스에 연극코미디과와 만화게임영상과, 미래공간디자인과 등 4개과 400명의 학생으로 오는 2012년 3월 개교를 목표로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경기도는 지역경제 활성화에 보탬이 될 수 있는 대학 캠퍼스 유치를 위해 김 지사가 직접 유치전에 뛰어들고 있어 대전·충청지역 등 비수도권 대학들의 추가적인 이전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실제로 대전지역 모 사립대 총장은 지난 19일 대전·충남지역총장협의회에 참석한 자리에서 “김 지사로부터 직접 대학 이전을 권유받았다”며 “대학 이전과 관련된 유리한 조건도 제시받았다”고 밝혔다.
경기도2청 관계자는 "대학 이전과 관련 문의가 잇따르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현재 이전 논의가 어느 정도 진행됐는지 여부와 해당 대학에 대해서는 공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특별법에 따라 경기도 내 미군기지 이전 부지에 타 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이전, 증설이 가능해져 비수도권 대학들의 이전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25일 경기도2청에 따르면 최근 동두천시 미군반환기지에 대전·충청권 소재 모 4년제 대학의 이전 방안을 논의했다.
이 대학의 총장 일행은 지난 16일 이전 부지를 방문했고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직접 현장을 안내하며 대학 이전에 관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 대학은 오는 2013년 신입생 모집을 목표로 대학원과 일부 학과의 이전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도와 이 대학은 조만간 대학 이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대학이전 승인 등 행정적인 절차가 진행될 경우 오는 2012년 착공이 가능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충청권 소재 대학이 수도권인 경기도로 이전이 가능하게 된 것은 지난 6월 공포·시행된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지원특별법 시행령' 개정안에 따른 것이다.
특별법에 학교의 이전이나 증설에 대해서는 수도권 과밀화를 막기 위한 '수도권정비계획법'을 적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특례조항이 명시돼 있기 때문이다.
이미 비수도권인 전북 임실에 위치한 예원예술대가 특별법에 의해 수도권인 경기도 양주시로의 이전을 확정했다.
예원예술대는 양주캠퍼스에 연극코미디과와 만화게임영상과, 미래공간디자인과 등 4개과 400명의 학생으로 오는 2012년 3월 개교를 목표로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경기도는 지역경제 활성화에 보탬이 될 수 있는 대학 캠퍼스 유치를 위해 김 지사가 직접 유치전에 뛰어들고 있어 대전·충청지역 등 비수도권 대학들의 추가적인 이전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실제로 대전지역 모 사립대 총장은 지난 19일 대전·충남지역총장협의회에 참석한 자리에서 “김 지사로부터 직접 대학 이전을 권유받았다”며 “대학 이전과 관련된 유리한 조건도 제시받았다”고 밝혔다.
경기도2청 관계자는 "대학 이전과 관련 문의가 잇따르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현재 이전 논의가 어느 정도 진행됐는지 여부와 해당 대학에 대해서는 공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