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3년간 대전시의 살림을 맡아 할 시금고 은행 결정과 관련, 이번 주 중 선정방식이 발표될 것이라는 분위기가 감지되며 지역 금융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당초 이번 시금고 선정은 민선 5기 출범 이후 대전시가 ‘수의계약 가능’이라는 내용의 '시금고 지정 및 운영 조례'를 개정하면서 수의계약 쪽으로 가닥이 잡힌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대전 시금고 선정과 관련, 지역 금융권은 선정방식과 수탁은행이 지난 달 중 모두 결정될 것으로 예측했지만, 현재까지도 아무런 소식이 없자 공개경쟁을 통한 시금고 선정의 가능성도 고개를 들고 있다.

대부분 금융권 관계자들은 이처럼 시금고 입찰이 늦어지는 이유를 수의계약에 대해 대전시가 부담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시금고가 수의계약을 통해 선정될 경우 ‘특혜’ 논란에 휩싸일 소지가 다분하다는 것.

실제 행정안전부의 예규를 따른다며 지난 8월 개정된 수의계약 조항은 지난 2007년 입찰 시 공정성과 투명성을 저해한다며 대전시가 삭제한 바 있기 때문이다.

지역의 모 은행 관계자는 “시금고 선정과 관련해 자신들이 삭제했던 수의계약 조항을 다시 살린 것이나 공개경쟁시 ‘특정 은행 밀어주기’라고 의심받을 만한 배점 기준 변경 등 논란의 여지가 많다”며 “아직 결정되지도 않은 시금고에 벌써 특혜 논란이 더욱 확대되는 데는 시금고 입찰을 기존 계획과 달리 지지부진하게 끌어온 대전시 측의 행정이 한 몫 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당초 계획보다 한 달 이상 늦어졌지만 시의 살림을 맡을 금고를 선정하는 것인 만큼 시가 공정하고 투명한 결정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