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대전지역 곳곳에서 불꺼진 가로등이나 깨진 보도블록이 방치돼 있는 모습을 쉽게 목격할 수 있을 전망이다. 대전 5개 자치구가 재정악화로 주민생활과 직결된 동별 현안사업마저 올스톱할 위기에 봉착해 있기 때문이다.
일부 자치구는 도로정비, 가로등 보수 등을 위해 올해 자체적으로 편성해 놓은 소규모 주민생활편익사업비를 지난해 대비 절반 이하 수준으로 감액하면서 이미 하반기 사업비가 고갈된 상태다. 소액의 주민생활편익사업비가 남아있는 일부 자치구의 경우도 열악한 재정상황을 이유로 당장 동별 현안사업 투입을 꺼리고 있어 향후 주민들의 민원이 폭주할 것으로 예상된다.
동구의 경우 올해 소규모 주민편익사업비를 지난해 6억 원에서 2억 원으로 감액, 하반기 주민편익사업비가 바닥났다. 구는 현재 주민 민원으로 절대적 정비가 필요한 곳을 동별 당면사업 지역으로 확정 짓고도 사업을 진행할 엄두조차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소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자양동 89-24번지 도로포장 공사 등 3곳과 용전동 주민센터 앞 보도정비, 가양동 423번지선 보도정비 공사는 이내 손을 놓은 상태다.
중구는 주민편익사업비가 지난해 3억 원에서 1억 5000만 원으로 감액되면서 대전시 특별교부금 1억 7700만 원을 교부받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1억 원 가까이 주민편익사업비가 남아 있는데도 가로등 정비, 도로 보수 등 소규모 사업에는 사업비를 투입하지 못하고 있다.
구 관계자는 “구 재원마련이 어려워 주민편익사업비를 예비비 성격으로 시급한 사업을 위해 마지막까지 남겨두고 있다”며 “동절기를 앞두고 각종 보수공사 등을 예상하고 있지만 소규모 주민편익사업은 구 자체적으로 판단해 일단 내년으로 미룰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서구도 구청장 연두 방문 시 민원이 야기된 도로·보도정비, 가로등·노후경로당 보수 등의 사업진행은 거의 포기한 상태로, 이달까지 올해 주민편익 사업비 5억 7700만 원을 모두 소비하고, 나머지 사업은 내년도 사업으로 이월해 버렸다.
유성구는 민선4기 주민편익사업비 3억 원을 모두 소비하고, 1억 원을 추가해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힘에 부치기는 타 구와 마찬가지다.
구는 도로보수의 경우 예산절감을 위해 도로긴급보수반을 자체 운영하고 있는 것은 물론 차량소통에 별다른 지장이 없으면 보수를 미루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보다 2억 원이나 절감된 3억 원의 주민편익사업비로 1년을 버텨내고 있는 대덕구의 사정도 별반 다르지 않다. 현재까지 9000만 원의 사업비가 남아있긴 하지만 현재 진행 중인 주민편익사업을 마무리하면 각종 민원이 속출하는 내달부터는 소소한 주민편익사업 진행조차 불투명한 상황이다.
5개 자치구 각 예산담당 관계자들은 “그나마 주민편익사업비를 쪼개고 쪼개 현재까지 어렵게 사업을 이어왔다”면서 “동절기를 맞아 보수정비공사가 넘쳐나는 내달부터는 잔고장이 많은 가로등 보수조차 버거울 것 같다”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일부 자치구는 도로정비, 가로등 보수 등을 위해 올해 자체적으로 편성해 놓은 소규모 주민생활편익사업비를 지난해 대비 절반 이하 수준으로 감액하면서 이미 하반기 사업비가 고갈된 상태다. 소액의 주민생활편익사업비가 남아있는 일부 자치구의 경우도 열악한 재정상황을 이유로 당장 동별 현안사업 투입을 꺼리고 있어 향후 주민들의 민원이 폭주할 것으로 예상된다.
동구의 경우 올해 소규모 주민편익사업비를 지난해 6억 원에서 2억 원으로 감액, 하반기 주민편익사업비가 바닥났다. 구는 현재 주민 민원으로 절대적 정비가 필요한 곳을 동별 당면사업 지역으로 확정 짓고도 사업을 진행할 엄두조차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소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자양동 89-24번지 도로포장 공사 등 3곳과 용전동 주민센터 앞 보도정비, 가양동 423번지선 보도정비 공사는 이내 손을 놓은 상태다.
중구는 주민편익사업비가 지난해 3억 원에서 1억 5000만 원으로 감액되면서 대전시 특별교부금 1억 7700만 원을 교부받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1억 원 가까이 주민편익사업비가 남아 있는데도 가로등 정비, 도로 보수 등 소규모 사업에는 사업비를 투입하지 못하고 있다.
구 관계자는 “구 재원마련이 어려워 주민편익사업비를 예비비 성격으로 시급한 사업을 위해 마지막까지 남겨두고 있다”며 “동절기를 앞두고 각종 보수공사 등을 예상하고 있지만 소규모 주민편익사업은 구 자체적으로 판단해 일단 내년으로 미룰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서구도 구청장 연두 방문 시 민원이 야기된 도로·보도정비, 가로등·노후경로당 보수 등의 사업진행은 거의 포기한 상태로, 이달까지 올해 주민편익 사업비 5억 7700만 원을 모두 소비하고, 나머지 사업은 내년도 사업으로 이월해 버렸다.
유성구는 민선4기 주민편익사업비 3억 원을 모두 소비하고, 1억 원을 추가해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힘에 부치기는 타 구와 마찬가지다.
구는 도로보수의 경우 예산절감을 위해 도로긴급보수반을 자체 운영하고 있는 것은 물론 차량소통에 별다른 지장이 없으면 보수를 미루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보다 2억 원이나 절감된 3억 원의 주민편익사업비로 1년을 버텨내고 있는 대덕구의 사정도 별반 다르지 않다. 현재까지 9000만 원의 사업비가 남아있긴 하지만 현재 진행 중인 주민편익사업을 마무리하면 각종 민원이 속출하는 내달부터는 소소한 주민편익사업 진행조차 불투명한 상황이다.
5개 자치구 각 예산담당 관계자들은 “그나마 주민편익사업비를 쪼개고 쪼개 현재까지 어렵게 사업을 이어왔다”면서 “동절기를 맞아 보수정비공사가 넘쳐나는 내달부터는 잔고장이 많은 가로등 보수조차 버거울 것 같다”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