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성화고(전문계고) 졸업생들에게 직업기초능력인증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20일 전문계고 교원과 산업체 인사, 직업교육 전문가 등 100명이 참여한 가운데 충북교육과학연구원에서 열린 '2010 직업교육정책 토론회'에서 이종범 청주교대 교수는 "직업기초능력인증제는 이런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인증해 주는 것으로 인증을 받은 학생이 산업체에 취업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누가 어떻게 인증을 해줄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또한 "인증하는 기관을 산업체로 할 것이냐, 학교장으로 할 것이냐"의 문제는 전문가와 관계자들의 의견수렴을 거쳐 가장 합리적으로 결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동령(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박사는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학욕구와 산업체의 인력수요 해결을 위해서는 특성화고(전문계고)를 졸업한 뒤 산업체에 취업하면 4년제 대학교에 정원외 특별전형으로 입학하는 제도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학위 취득 결과를 기업 인사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교과부와 관련부처, 경제단체간 네트워크가 구성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올해로 3번째 맞는 직업교육정책토론회는 충북도교육청이 전문가와 현장의 의견을 수렴, 정책대안을 모색하는 토론회로 진행됐으며 송병국 순천향대 교수, 송길용 충북반도체고 교사, 윤창훈 충청대학 교수, 황영덕 청주농고 교사 등이 토론자로 참가했다.
이 토론회에서는 현장 교사들과의 의견교환도 이루어졌다.
한편 토론에 앞서 이대건 충북지방중소기업청장은 '중소기업이 대한민국의 경쟁력이다' 라는 기조강연을 통해 "특성화고는 산업인력의 산실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규철 기자 qc2580@cctoday.co.kr
20일 전문계고 교원과 산업체 인사, 직업교육 전문가 등 100명이 참여한 가운데 충북교육과학연구원에서 열린 '2010 직업교육정책 토론회'에서 이종범 청주교대 교수는 "직업기초능력인증제는 이런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인증해 주는 것으로 인증을 받은 학생이 산업체에 취업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누가 어떻게 인증을 해줄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또한 "인증하는 기관을 산업체로 할 것이냐, 학교장으로 할 것이냐"의 문제는 전문가와 관계자들의 의견수렴을 거쳐 가장 합리적으로 결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동령(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박사는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학욕구와 산업체의 인력수요 해결을 위해서는 특성화고(전문계고)를 졸업한 뒤 산업체에 취업하면 4년제 대학교에 정원외 특별전형으로 입학하는 제도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학위 취득 결과를 기업 인사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교과부와 관련부처, 경제단체간 네트워크가 구성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올해로 3번째 맞는 직업교육정책토론회는 충북도교육청이 전문가와 현장의 의견을 수렴, 정책대안을 모색하는 토론회로 진행됐으며 송병국 순천향대 교수, 송길용 충북반도체고 교사, 윤창훈 충청대학 교수, 황영덕 청주농고 교사 등이 토론자로 참가했다.
이 토론회에서는 현장 교사들과의 의견교환도 이루어졌다.
한편 토론에 앞서 이대건 충북지방중소기업청장은 '중소기업이 대한민국의 경쟁력이다' 라는 기조강연을 통해 "특성화고는 산업인력의 산실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규철 기자 qc2580@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