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가 안전성평가연구소의 민영화 추진을 졸속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공공연구노동조합(이하 연구노조)은 지경부가 안전성평가연구소의 매각조건을 건물 임대 방식으로 전환하고, 이를 결정하기 위해 산업기술연구회 임시 이사회를 추진 중이라고 20일 밝혔다.

이 같은 민영화는 결국 수천 억 원을 들여 세운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을 특정 자본에게 공짜로 넘기는 것과 다름 없다는 것.

연구노조에 따르면 안전성평가연구소의 자산은 1160억 원 대로 이 가운데 대전과 전북 정읍 소재 시설을 포함한 건물가치가 900억 원을 차지한다.

나머지는 당좌자산과 재고자산을 포함한 유동자산이 210억 원, 기타 비유동자산(보증금)이 2억 원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연구노조측은 “이는 능력 미달인 특정 기업이 매수할 수 있도록 900억 원 대 건물을 매각에서 임대로 전환하려는 것이 아닌지 의구심을 지울 수가 없다”며 “또 임대형식으로 매각이 추진될 경우 매각대금이 200억 원대로 결정될 것이라는 구체적인 이야기가 흘러나오고 있어 의구심을 더욱 짙게 한다”고 말했다.

특히 “매각 절차가 본격적으로 진행돼 6개 기업의 매수의향서를 접수한 상황에서 매각의 가장 결정적인 조건을 변경하는 것은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조치”라며 “이는 지경부가 정부출연연구기관 선전화 실적에만 치우쳐 안전성평가연구소를 어떻게든 팔아치우기 위한 것”이라고 덧붙혔다.

연구노조는 “현재 졸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안전성평가연구소의 민영화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이어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지배구조 개편에 따라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산하에 안전성평가연구소를 편재한 후 연구소 구성원, 관련 전문가, 학계, 노동조합이 함께 안전성평가연구소 발전 방안에 대해 재논의 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