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지역에 기반을 둔 저축은행들이 대전지역에 무혈입성하고 있는 타 지역 저축은행들로 인해 고객 지키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19일 금융감독원과 저축은행 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 12일 충북 옥천 기반의 한성저축은행이 대전 출장소를 개소했고, 대형 저축은행들이 대전지역에 지점 및 출장소를 열기 위해 시장 조사중이다.

1500억 원 규모의 소형 저축은행인 한성저축은행이 예상 외의 호응을 보이며 대전 고객을 모집하고 있고, 조만간 충남 천안에도 여신전문출장소를 추가로 개소할 것으로 알려지는 등 세 확장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자산규모 1조 원 이상의 대형 저축은행들이 이미 온라인 대출 영업을 통해 전국적 고객 유치에 나서고 있고, 일부 저축은행의 경우 캐피털사의 형태로 대전 지역에서 대출모집을 실시중이다. 이에 따라 지역 내 저축은행들은 고객 유출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저축은행의 경우 등록 지역과 타 지역에서 각각 50%의 대출 영업을 할 수 있어 대형 저축은행이 지역으로 손을 뻗칠 경우 지역 저축은행들의 위축은 불가피하다는 것이 금융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지역 저축은행들은 이 같은 타 지역 저축은행들의 공세와 관련해 고객 지키기에 차질을 빚지 않을까 걱정하는 모습이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대전이 세종시 인접도시 등으로 발전이 가시화되면서 저축은행들이 상징적 의미로 지점 또는 출장소를 만들려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며 “타 지역에 기반을 둔 대형 저축은행들이 대전에 자리를 잡게 될 경우 소규모인 지역 저축은행은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같은 일부 저축은행들의 대형화 추진이 연체율 등 부실률을 줄이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다른 저축은행 관계자는 “인수합병을 통해 몸체만 불리려는 대형 저축은행의 경우 부실률이나 자기자본비율 등을 정확히 알아본 뒤 거래를 해야한다”며 “규모가 커지면 부실률이 줄어드는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저축은행들이 대형화에 혈안인 것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저축은행 고객들의 안전을 위해서는 오히려 무리한 확장을 하지 않는 소규모 저축은행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한성 기자 hansoung@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