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유명 성형의사를 사칭해 여성들에게 불법으로 시술을 해온 50대 여성이 경찰에 붙잡혔다.
특히 이 여성에게 수술을 받은 사람들 중에는 근육 마비증상은 물론 실명위기에 놓인 사람까지 있어 충격을 주고 있다.
충남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20일 미국 성형의사를 사칭해 무면허 성형수술을 해주고 1억2000만 원을 받아 챙긴 혐의(보건범죄단속에 관한 특별조치법 위반)로 미국 영주권자 A(55·여) 씨를 구속하고, 수술을 알선한 B(57·여)씨 등 4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또 A 씨에게 수술에 사용하는 마취제, 보형물 등 전문의약품을 판매한 혐의(약사법 위반)로 의료기 판매업자 C(54) 씨를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A 씨는 1993년 미국으로 이민한 영주권자로 2005년 2월경 충남 금산군의 D(55.여) 씨의 집에서 D 씨에게 처진 눈을 올리는 수술을 해주고 50만 원을 받는 등 최근까지 수도권과 충청지역 일대를 돌며 81명에게 90여 차례에 걸쳐 눈썹 문신, 쌍꺼풀, 필러 등 불법성형 수술을 해온 혐의다.
경찰 조사결과 A 씨는 미국 이민 전 국내에서 무면허 성형수술을 하다 경찰에 적발된 적이 있으며 이민 후 경제적으로 어려워지자 국내에 수시로 드나들며 무면허 수술을 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또 지난해 A 씨에게 얼굴주름(일명 리프팅) 제거 수술을 받은 E(56·여) 씨는 수술 중 신경을 다쳐 팔에 마비증세가 왔으며, F(56·여) 씨는 수술 중 필러액이 눈에 들어가 실명위기에 처하는 등 심각한 부작용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A 씨가 1999년부터 최근까지 수술을 위해 140여 차례나 출입국한 사실이 있고, 서울이나 경기지역에서 유명 성형의사로 불릴 만큼 소문이 나 있는 점 등을 미뤄 피해자들이 더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A 씨 등은 미국에서 성공한 의사라고 속인 후 대부분 현금을 받고, 시중보다 싸게 수술해주는 방법으로 사람들을 모았다"며 "피해자 대부분이 부작용이 있어도 불법성형을 했다는 수치심과 처벌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사실을 부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찰은 의료기 판매업자에 마취제 등을 불법으로 공급한 중국 보따리상과 추가 수술 피해자를 추적하는 등 전방위 수사에 나설 방침이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
특히 이 여성에게 수술을 받은 사람들 중에는 근육 마비증상은 물론 실명위기에 놓인 사람까지 있어 충격을 주고 있다.
충남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20일 미국 성형의사를 사칭해 무면허 성형수술을 해주고 1억2000만 원을 받아 챙긴 혐의(보건범죄단속에 관한 특별조치법 위반)로 미국 영주권자 A(55·여) 씨를 구속하고, 수술을 알선한 B(57·여)씨 등 4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또 A 씨에게 수술에 사용하는 마취제, 보형물 등 전문의약품을 판매한 혐의(약사법 위반)로 의료기 판매업자 C(54) 씨를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A 씨는 1993년 미국으로 이민한 영주권자로 2005년 2월경 충남 금산군의 D(55.여) 씨의 집에서 D 씨에게 처진 눈을 올리는 수술을 해주고 50만 원을 받는 등 최근까지 수도권과 충청지역 일대를 돌며 81명에게 90여 차례에 걸쳐 눈썹 문신, 쌍꺼풀, 필러 등 불법성형 수술을 해온 혐의다.
경찰 조사결과 A 씨는 미국 이민 전 국내에서 무면허 성형수술을 하다 경찰에 적발된 적이 있으며 이민 후 경제적으로 어려워지자 국내에 수시로 드나들며 무면허 수술을 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또 지난해 A 씨에게 얼굴주름(일명 리프팅) 제거 수술을 받은 E(56·여) 씨는 수술 중 신경을 다쳐 팔에 마비증세가 왔으며, F(56·여) 씨는 수술 중 필러액이 눈에 들어가 실명위기에 처하는 등 심각한 부작용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A 씨가 1999년부터 최근까지 수술을 위해 140여 차례나 출입국한 사실이 있고, 서울이나 경기지역에서 유명 성형의사로 불릴 만큼 소문이 나 있는 점 등을 미뤄 피해자들이 더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A 씨 등은 미국에서 성공한 의사라고 속인 후 대부분 현금을 받고, 시중보다 싸게 수술해주는 방법으로 사람들을 모았다"며 "피해자 대부분이 부작용이 있어도 불법성형을 했다는 수치심과 처벌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사실을 부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찰은 의료기 판매업자에 마취제 등을 불법으로 공급한 중국 보따리상과 추가 수술 피해자를 추적하는 등 전방위 수사에 나설 방침이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