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점점 더 푸석푸석해지는 얼굴, 환절기가 되면 생체 리듬이 깨져 괜히 더 피곤하고 졸음이 많아지는데, 피부도 마찬가지로 더욱 민감해진다.
환절기 피부가 예민해지는 가장 큰 원인은 온도 변화와 바람 때문이다.
온도가 내려가면 피부 보호막 역할을 하는 피지 분비가 줄어드는 데다 건조해진 바람에 피부 속 수분까지 빼앗아 피부가 바싹 마른 듯한 느낌이 드는 것. 이렇게 건조함 뿐만 아니라 여름 내 잠잠했던 각질까지 일어나 피부는 한마디로 엉망이 되기 쉽다. 때문에 환절기에는 피부에 고보습과 영양을 함께 챙겨주는 토탈 안티에이징 케어로 피부 나이를 막아야 한다
◆환절기 당기는 피부를 촉촉하게
요즘처럼 갑자기 차가워진 바람은 피부 표면의 온도를 떨어뜨리고 수분을 쉽게 빼앗아 피부가 당기고 거칠어지게 된다.
이렇게 피부가 푸석해지면 수분을 채워주는 것만으로는 역부족이다.
특히 여름에 바르던 가벼운 제형의 수분 크림을 그대로 바른다면 피부가 촉촉하게 유지되기 힘들다.
가을에는 피부에 수분을 충분히 공급해 주는 것은 물론 수분을 빼앗기지 않고 오랜 시간 피부 속에 머무를 수 있도록 피부 보호막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여름철에 사용했던 가벼운 제형의 수분 크림보다는 유분과 수분이 함께 포함된 보습 크림이 가을철 피부 보호에 적합하다.
아무리 수분을 듬뿍 공급해주어도 피부 표면에 보호막을 만들어 주는 유분이 없다면 피부 속 수분이 죄다 날아가버려 '밑 빠진 독에 물 붓기'가 되기 쉽기 때문이다.
점점 더 건조해지는 피부를 위해서는 피부 속에 충분히 보습을 해주고 피부 표면에는 수분이 빼앗기지 않도록 튼튼한 보호막을 만들어 주는 고보습 안티에이징 크림이 필요하다는 것 명심해야 한다.
◆화장이 자꾸 들뜨고 거칠어 진다면 각질 관리에 신경을
가을철 찬바람은 피부를 건조하게 할 뿐 아니라 각질량을 증가시킨다.
가을이 되면 갑자기 깊은 주름이 생기고 화장이 잘 먹지 않는 것처럼 느껴지는데, 이는 바로 건조와 각질 증가 때문이다.
해결책은 바로 즉각적인 영양 공급과 주기적인 각질 제거.
특히 매끄러운 피부를 유지하려면 주 1~2회 정도는 스크럽을 사용해 각질을 제거하는 것이 좋은데, 피부가 예민하고 지쳐 있는 상태이므로 스크럽제는 피부 타입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민감성 피부는 약산성의 스크럽제로 주 1~2회 각질을 제거 해주고, 건성 피부는 화학적 스크럽제로 천천히 각질을 분해 해주며, 지성 피부는 주 2회 정도 각질 제거를 해주는 것이 좋다.
각질 제거 후에는 철저한 보습과 영양 공급이 필요하다.
각질 제거 후 드러난 새 각질층은 아기 피부와 같아서 피부 속 수분과 영양이 쉽게 날아가 버리기 때문이다.
각질 제거 후에는 보습과 영양을 한번에 주는 크림으로 아기 같은 연약하고 부드러운 피부를 보호하고, 성분이 쉽게 날아가지 않도록 보호막 만들어 촉촉하고 탄력이 느껴지는 피부로 가꿔야 한다.
◆가을 자외선 무시했다가 단풍처럼 울긋불긋 피부로
선선한 바람이 불어오는 가을이 되면 자외선차단에 무신경해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야외활동이 잦아지는 가을, 가을 자외선에 노출되면 기미, 주근깨를 비롯한 피부트러플이 생기기 십상이다.
단풍마냥 울긋불긋한 얼굴로 달아오르고 싶지 않다면 자외선차단제에 집중해야 할 때이다.
자외선 차단제를 판단하는 기준은 SPF 지수인데 기준이 되는 수치는 15이다.
이때 SPF 지수는 제품을 바르고 태양에 그을리지 않고 버틸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한다.
피부가 그을리는 것은 UVB의 작용 때문인데 이것만 차단하는 것으로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
주름과 피부암의 발생이 UVA 때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자외선 차단제를 구입할 때 간단하게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아보벤존, 에캄슐, 티노솔브의 5가지 성분이 한 개 이상 들어있는지 확인해봐야 한다. 이 성분들은 UVA와 UVB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때문이다. 전민희 기자 manajun@cctoday.co.kr
도움 : 아모레퍼시픽
환절기 피부가 예민해지는 가장 큰 원인은 온도 변화와 바람 때문이다.
온도가 내려가면 피부 보호막 역할을 하는 피지 분비가 줄어드는 데다 건조해진 바람에 피부 속 수분까지 빼앗아 피부가 바싹 마른 듯한 느낌이 드는 것. 이렇게 건조함 뿐만 아니라 여름 내 잠잠했던 각질까지 일어나 피부는 한마디로 엉망이 되기 쉽다. 때문에 환절기에는 피부에 고보습과 영양을 함께 챙겨주는 토탈 안티에이징 케어로 피부 나이를 막아야 한다
◆환절기 당기는 피부를 촉촉하게
요즘처럼 갑자기 차가워진 바람은 피부 표면의 온도를 떨어뜨리고 수분을 쉽게 빼앗아 피부가 당기고 거칠어지게 된다.
이렇게 피부가 푸석해지면 수분을 채워주는 것만으로는 역부족이다.
특히 여름에 바르던 가벼운 제형의 수분 크림을 그대로 바른다면 피부가 촉촉하게 유지되기 힘들다.
가을에는 피부에 수분을 충분히 공급해 주는 것은 물론 수분을 빼앗기지 않고 오랜 시간 피부 속에 머무를 수 있도록 피부 보호막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여름철에 사용했던 가벼운 제형의 수분 크림보다는 유분과 수분이 함께 포함된 보습 크림이 가을철 피부 보호에 적합하다.
아무리 수분을 듬뿍 공급해주어도 피부 표면에 보호막을 만들어 주는 유분이 없다면 피부 속 수분이 죄다 날아가버려 '밑 빠진 독에 물 붓기'가 되기 쉽기 때문이다.
점점 더 건조해지는 피부를 위해서는 피부 속에 충분히 보습을 해주고 피부 표면에는 수분이 빼앗기지 않도록 튼튼한 보호막을 만들어 주는 고보습 안티에이징 크림이 필요하다는 것 명심해야 한다.
◆화장이 자꾸 들뜨고 거칠어 진다면 각질 관리에 신경을
가을철 찬바람은 피부를 건조하게 할 뿐 아니라 각질량을 증가시킨다.
가을이 되면 갑자기 깊은 주름이 생기고 화장이 잘 먹지 않는 것처럼 느껴지는데, 이는 바로 건조와 각질 증가 때문이다.
해결책은 바로 즉각적인 영양 공급과 주기적인 각질 제거.
특히 매끄러운 피부를 유지하려면 주 1~2회 정도는 스크럽을 사용해 각질을 제거하는 것이 좋은데, 피부가 예민하고 지쳐 있는 상태이므로 스크럽제는 피부 타입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민감성 피부는 약산성의 스크럽제로 주 1~2회 각질을 제거 해주고, 건성 피부는 화학적 스크럽제로 천천히 각질을 분해 해주며, 지성 피부는 주 2회 정도 각질 제거를 해주는 것이 좋다.
각질 제거 후에는 철저한 보습과 영양 공급이 필요하다.
각질 제거 후 드러난 새 각질층은 아기 피부와 같아서 피부 속 수분과 영양이 쉽게 날아가 버리기 때문이다.
각질 제거 후에는 보습과 영양을 한번에 주는 크림으로 아기 같은 연약하고 부드러운 피부를 보호하고, 성분이 쉽게 날아가지 않도록 보호막 만들어 촉촉하고 탄력이 느껴지는 피부로 가꿔야 한다.
◆가을 자외선 무시했다가 단풍처럼 울긋불긋 피부로
선선한 바람이 불어오는 가을이 되면 자외선차단에 무신경해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야외활동이 잦아지는 가을, 가을 자외선에 노출되면 기미, 주근깨를 비롯한 피부트러플이 생기기 십상이다.
단풍마냥 울긋불긋한 얼굴로 달아오르고 싶지 않다면 자외선차단제에 집중해야 할 때이다.
자외선 차단제를 판단하는 기준은 SPF 지수인데 기준이 되는 수치는 15이다.
이때 SPF 지수는 제품을 바르고 태양에 그을리지 않고 버틸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한다.
피부가 그을리는 것은 UVB의 작용 때문인데 이것만 차단하는 것으로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
주름과 피부암의 발생이 UVA 때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자외선 차단제를 구입할 때 간단하게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아보벤존, 에캄슐, 티노솔브의 5가지 성분이 한 개 이상 들어있는지 확인해봐야 한다. 이 성분들은 UVA와 UVB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때문이다. 전민희 기자 manajun@cctoday.co.kr
도움 : 아모레퍼시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