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청 이전 신도시에 설립이 추진됐던 복합캠퍼스 조성사업이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
충남도가 복합캠퍼스 조성 예정 부지를 다른 용도로 전용할 수 있다는 방침을 처음으로 언급했고, 당초 이전을 고려했던 대학들도 학령인구 감소 등 교육환경 변화와 대학캠퍼스 공급과잉 등에 대한 우려로 한 발 물러서는 모양새다.
19일 대전과 충남지역 4년제 대학 24개교 총장들로 구성된 대전·충남지역총장협의회는 대전에서 정기회의를 갖고 충남도청 신도시 복합캠퍼스 등의 현안과제를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전병욱 충남도 도청이전본부장이 참석해 홍성·예산지역에 들어설 도청신도시에 설립 추진이 진행되고 있는 복합캠퍼스와 관련된 계획과 입장을 설명했다.
전 도청이전본부장은 "당위적인 측면에서 도청신도시에 대학이 들어서야 한다는 것이 기본적인 입장"이라며 "하지만 입주를 희망하는 대학들의 제안이 현행 법령과 교육당국의 정책기조와 부합하지 않을 경우 실현되기가 쉽지 않다"고 밝혔다.
특히 "기존 학과를 이전하거나 교과부의 승인 사항인 학과 신설 등이 포함된 이전 안에 대해서는 수용하기 힘들다"며 "이 같은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복합캠퍼스 조성 예정 부지를 다른 용도로 전용하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충남도가 대전·충남지역 대학 총장들이 모인 자리에서 복합캠퍼스 설립이 예정된 부지를 다른 용도로 전용할 수 있다고 공개적으로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 도청이전본부장은 "충남권 이남지역 대학들이 학생모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에서 또 하나의 지역대학이 과연 필요한지 여부도 검토해야 한다"고 부정적인 기류를 전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대학 총장들도 학생 정원 증원 보장 등 구체적인 당근책을 제시하지 않을 경우 신도시에 입주하는 모험을 감행할 만한 뚜렷한 이점이 없다는 입장이다.
한서대 함기선 총장은 "학과 신설을 허용해 주거나 정원 증원 등의 유인책이 없다면 대학 입장에서는 섣불리 입주를 결정하기 힘든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교육계 한 관계자는 "대전·충남 대학들이 학생모집 등 향후 수요가 확실하지 않고 타당성 여부 등에 대한 검토를 통해 복합캠퍼스 이전에 대한 필요성이 높지 않다는 기류가 우세하다"며 "남은 기간 충남도와 대학들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
충남도가 복합캠퍼스 조성 예정 부지를 다른 용도로 전용할 수 있다는 방침을 처음으로 언급했고, 당초 이전을 고려했던 대학들도 학령인구 감소 등 교육환경 변화와 대학캠퍼스 공급과잉 등에 대한 우려로 한 발 물러서는 모양새다.
19일 대전과 충남지역 4년제 대학 24개교 총장들로 구성된 대전·충남지역총장협의회는 대전에서 정기회의를 갖고 충남도청 신도시 복합캠퍼스 등의 현안과제를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전병욱 충남도 도청이전본부장이 참석해 홍성·예산지역에 들어설 도청신도시에 설립 추진이 진행되고 있는 복합캠퍼스와 관련된 계획과 입장을 설명했다.
전 도청이전본부장은 "당위적인 측면에서 도청신도시에 대학이 들어서야 한다는 것이 기본적인 입장"이라며 "하지만 입주를 희망하는 대학들의 제안이 현행 법령과 교육당국의 정책기조와 부합하지 않을 경우 실현되기가 쉽지 않다"고 밝혔다.
특히 "기존 학과를 이전하거나 교과부의 승인 사항인 학과 신설 등이 포함된 이전 안에 대해서는 수용하기 힘들다"며 "이 같은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복합캠퍼스 조성 예정 부지를 다른 용도로 전용하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충남도가 대전·충남지역 대학 총장들이 모인 자리에서 복합캠퍼스 설립이 예정된 부지를 다른 용도로 전용할 수 있다고 공개적으로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 도청이전본부장은 "충남권 이남지역 대학들이 학생모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에서 또 하나의 지역대학이 과연 필요한지 여부도 검토해야 한다"고 부정적인 기류를 전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대학 총장들도 학생 정원 증원 보장 등 구체적인 당근책을 제시하지 않을 경우 신도시에 입주하는 모험을 감행할 만한 뚜렷한 이점이 없다는 입장이다.
한서대 함기선 총장은 "학과 신설을 허용해 주거나 정원 증원 등의 유인책이 없다면 대학 입장에서는 섣불리 입주를 결정하기 힘든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교육계 한 관계자는 "대전·충남 대학들이 학생모집 등 향후 수요가 확실하지 않고 타당성 여부 등에 대한 검토를 통해 복합캠퍼스 이전에 대한 필요성이 높지 않다는 기류가 우세하다"며 "남은 기간 충남도와 대학들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일순 기자 ra115@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