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주류 측이 연내 개헌 논의 주장을 계속해서 제기하고 있지만 이를 둘러싼 각 정파들의 이해관계가 충돌하고 있다.

한나라당 내 친박(친 박근혜)측은 이재오 특임장관 등 여권 핵심부의 연내 개헌 논의 입장에 대해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고 있고, 손학규 대표 체제가 들어선 민주당은 여권 내 단일안이 먼저 나와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면서 부정적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

자유선진당 역시, 여권 핵심부의 오락가락한 개헌 입장을 질타하며, 진정성 있는 여권의 개헌안이 나와야 한다는 입장이다.

당초 정치권은 개헌과 관련 기존의 대통령제 폐단을 지적하며, 개헌 논의에 원론적인 찬성 입장을 보여 왔다.

그러나 연내 개헌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는 입장이 제기되자, 여야 정치권이 당내 상황과 현 정치권 구도를 고려해 신중 모드로 전환하고 있다.

이는 개헌 논의가 시작될 경우 현재의 여야 정치 구도에 대한 큰 변화가 예상되고 있고, 현 정부 들어 최대 이슈가 되고 있는 4대강 사업 등 모든 문제를 빨아들이는 블랙홀 현상까지 나타날 우려가 있어 정치권이 쉽사리 동의할 수 없는데 기인한다.

여기에 한나라당 내 친이(친 이명박)계와 친박 간 개헌을 놓고 이렇다 할 의견수렴도 돼 있지 않은 상황 역시 연내 개헌 논의 구체화를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한나라당 친박 측은 이미 이재오 특임장관의 연내 개헌 논의 주장에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며, 친이 측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18일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도 양 계파는 개헌에 대해 일체의 언급을 자제하는 등 극도의 신중한 행보를 보였다.

그러나 한나라당 주류 측은 계속해서 연내 개헌 논의에 불을 지피고 있다.

한나라당 원희룡 사무총장은 이날 “개헌의 방식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지만 당위성을 반대하는 쪽은 없다”며 “합의 없이는 어렵지만 논의를 안 하고 넘어갈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과 선진당 등 야권은 여권 내 의견 통합을 우선 주문했다.

민주당 전병헌 정책위의장은 “현재는 한나라당 내부도 시기와 내용에 이르기까지 전혀 정리가 안됐다”며 “그런 상황에서 자꾸 개헌론을 꺼내는 것은 국면을 전환하고 호도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이 든다”고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선진당 이회창 대표는 이날 “개헌은 이명박 대통령이 먼저 불을 지폈다. 작년부터 대통령은 소폭 개헌 즉 4년 중임제의 개헌을 거론했고, 1년 내 개헌을 해야 한다는 말까지 했다. 그런데 지난 14일 청와대에서는 개헌은 현실성도 없고 청와대는 추진하지 않는다는 말을 했다”며 “대통령의 말도 왔다 갔다 하는데다가 여당 말도 서로 다르면 이 정권의 의지는 도대체 무엇인가. 헌법이 누구 주머니 안에 있는 장난감도 아닌데 이렇게 말을 굴리면서 장난하듯 해서 되는가”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서울=방종훈 기자 bangjh@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