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충청지역 사업지 보상 미착수된 지역이 32곳인 것으로 파악됐다.
보상이 착수되지 않은 곳은 내달 있을 LH의 사업지에서 탈락할 가능성이 높은 점으로 미뤄볼 때 큰 파장이 예상된다.
특히 충청지역의 보상 미착수 지역은 수도권(50곳)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32곳으로 나타나 지역경제에 빨간불이 켜졌다.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자유선진당 소속 권선택 의원은 LH로부터 제출받은 '지구지정 이후 보상미착수 사업현황' 자료를 근거로 "LH가 밝히고 있는 우선 사업조정대상지역 가운데 충청권지역은 여의도면적(8.4㎢)의 5.4배가량인 45.5㎢으로 보상추정액만 19조 6662억 원에 달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미보상 지역도 지역경제의 파급력을 고려하여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LH는 택지지구·신도시 등으로 지구지정을 해놓고 토지보상금을 지급하지 못한 면적을 여의도면적의 23배가량인 195.6㎢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전국 138곳에 이르는 이들 지역에 대한 총보상액은142조 6886억 원 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대전지역의 신규 사업장 가운데 보상 미착수 지역은 7곳이며, 충남은 15곳, 충북은 10곳으로 조사됐다.
이번에 포함된 신규사업장 대상으로 택지나 신도시, 국민임대지구, 도시재개발지구 가운데 일부가 '살생부'에 포함될 공산이 큰것으로 보고있어 민원 유발 등 후폭풍이 거셀 전망이다.
지역별 보상추정액을 살펴보면 수도권(50곳)이 100조 3353억 원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충청권(32곳)이 19조 6662억 원, 영남권이 16조 3047억 원, 호남권이 2조 7001억 원, 강원 등 기타지역이 3조 6823억 원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보상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LH 사업지에 재산권을 갖고 있는 시민들의 고통만 커져 가고 있다.
권 의원은 "지구 지정 뒤 장기간 보상을 하지 않은 경우 명백하게 주민들의 재산권을 침해한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LH가 사업조정에 따른 포기지역 대책을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보상이 착수되지 않은 곳은 내달 있을 LH의 사업지에서 탈락할 가능성이 높은 점으로 미뤄볼 때 큰 파장이 예상된다.
특히 충청지역의 보상 미착수 지역은 수도권(50곳)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32곳으로 나타나 지역경제에 빨간불이 켜졌다.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자유선진당 소속 권선택 의원은 LH로부터 제출받은 '지구지정 이후 보상미착수 사업현황' 자료를 근거로 "LH가 밝히고 있는 우선 사업조정대상지역 가운데 충청권지역은 여의도면적(8.4㎢)의 5.4배가량인 45.5㎢으로 보상추정액만 19조 6662억 원에 달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미보상 지역도 지역경제의 파급력을 고려하여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LH는 택지지구·신도시 등으로 지구지정을 해놓고 토지보상금을 지급하지 못한 면적을 여의도면적의 23배가량인 195.6㎢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전국 138곳에 이르는 이들 지역에 대한 총보상액은142조 6886억 원 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대전지역의 신규 사업장 가운데 보상 미착수 지역은 7곳이며, 충남은 15곳, 충북은 10곳으로 조사됐다.
이번에 포함된 신규사업장 대상으로 택지나 신도시, 국민임대지구, 도시재개발지구 가운데 일부가 '살생부'에 포함될 공산이 큰것으로 보고있어 민원 유발 등 후폭풍이 거셀 전망이다.
지역별 보상추정액을 살펴보면 수도권(50곳)이 100조 3353억 원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충청권(32곳)이 19조 6662억 원, 영남권이 16조 3047억 원, 호남권이 2조 7001억 원, 강원 등 기타지역이 3조 6823억 원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보상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LH 사업지에 재산권을 갖고 있는 시민들의 고통만 커져 가고 있다.
권 의원은 "지구 지정 뒤 장기간 보상을 하지 않은 경우 명백하게 주민들의 재산권을 침해한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LH가 사업조정에 따른 포기지역 대책을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