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1년 충남도민체전이 열릴 예정인 보령시가 예산 등의 사유를 들어 대회 개최에 난색을 표명해 파문이 일고 있다.
특히 체전 유치를 놓고 충남도와 보령시가 서로 다른 주장을 하고 있어 향후 대회 개최에 차질이 빚어질 경우 양측의 ‘책임공방’으로 번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보령시는 당초 오는 2012년 대회를 개최할 예정이었지만 2011년 개최 예정지였던 부여군이 시설미비 등을 이유로 개최를 포기하면서 예정보다 1년 먼저 체전을 유치하게 됐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보령시는 체전 개최 일정이 앞당겨진 것에 대해 충남도의 일방적인 결정을 주장하고 있는 반면 충남도는 “부여군의 포기로 원점에서 재검토한 결과 보령시가 차기 대회를 유치하게 됐다”며 서로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보령시는 지난 13일 갑작스럽게 예산부족과 체전 준비기간 부족 등을 이유로 체전 개최 여부를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도민체전 개최를 위해서는 주요 경기장 보수 및 정비와 대회운영 경비 등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지만 충남도가 지원하는 15억 원(시설비 12억 원, 운영비 3억 원)으로는 체전 개최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최근 국고보조금 감소와 수해복구비, 채무상환기금 등 시급한 현안 예산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도민체전 비용까지 떠안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것이다.
보령시는 또 개최지 변경으로 인해 준비계획조차 충분히 검토하지 못한 상황에서 매년 하반기에 열리던 체전이 상반기로 앞당겨져 물리적인 준비기간도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보령시 관계자는 "도민체전 차기 개최지로 선정돼 대회기를 받기는 했지만 예산이 부족하고 머드축제 준비기간과도 중복돼 정상적인 대회 개최가 힘든 상황이다”며 "조만간 이시우 시장이 안희정 도지사를 만나 심도 있는 논의를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충남도는 보령시가 지난달 폐막한 충남도민체전에서 차기 개최지로 공표되고 대회기까지 인수를 마쳐 당혹스럽다는 반응이다. 충남도 관계자는 "대회기까지 인수해놓고 이제와서 갑작스럽게 유치가 어렵다고 하니 너무나 당황스럽다”며 “아직까지는 보령시의 공식적인 입장 전달이 없었지만 정식으로 요청이 온다면 도 차원에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호창 기자 hclee@cctoday.co.kr
특히 체전 유치를 놓고 충남도와 보령시가 서로 다른 주장을 하고 있어 향후 대회 개최에 차질이 빚어질 경우 양측의 ‘책임공방’으로 번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보령시는 당초 오는 2012년 대회를 개최할 예정이었지만 2011년 개최 예정지였던 부여군이 시설미비 등을 이유로 개최를 포기하면서 예정보다 1년 먼저 체전을 유치하게 됐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보령시는 체전 개최 일정이 앞당겨진 것에 대해 충남도의 일방적인 결정을 주장하고 있는 반면 충남도는 “부여군의 포기로 원점에서 재검토한 결과 보령시가 차기 대회를 유치하게 됐다”며 서로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보령시는 지난 13일 갑작스럽게 예산부족과 체전 준비기간 부족 등을 이유로 체전 개최 여부를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도민체전 개최를 위해서는 주요 경기장 보수 및 정비와 대회운영 경비 등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지만 충남도가 지원하는 15억 원(시설비 12억 원, 운영비 3억 원)으로는 체전 개최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최근 국고보조금 감소와 수해복구비, 채무상환기금 등 시급한 현안 예산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도민체전 비용까지 떠안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것이다.
보령시는 또 개최지 변경으로 인해 준비계획조차 충분히 검토하지 못한 상황에서 매년 하반기에 열리던 체전이 상반기로 앞당겨져 물리적인 준비기간도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보령시 관계자는 "도민체전 차기 개최지로 선정돼 대회기를 받기는 했지만 예산이 부족하고 머드축제 준비기간과도 중복돼 정상적인 대회 개최가 힘든 상황이다”며 "조만간 이시우 시장이 안희정 도지사를 만나 심도 있는 논의를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충남도는 보령시가 지난달 폐막한 충남도민체전에서 차기 개최지로 공표되고 대회기까지 인수를 마쳐 당혹스럽다는 반응이다. 충남도 관계자는 "대회기까지 인수해놓고 이제와서 갑작스럽게 유치가 어렵다고 하니 너무나 당황스럽다”며 “아직까지는 보령시의 공식적인 입장 전달이 없었지만 정식으로 요청이 온다면 도 차원에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호창 기자 hclee@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