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해아마다 가을철부터 유행하는 계절서 인플루엔자의 경우 평소 건강한 사람은 증상이 평소보다는 조금 시한 감기처럼 지나가지만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 만성징환자, 임산부 등은 폐렴 등의 합병증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 철저한 손씻기 등 개인위생습관과 함께 예방접종을 잘 챙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
이 소식이 알려지자 다시 신종플루 유행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질병관리본부는 지난해와 같은 대유행은 없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질병관리본부는 신종플루는 이제 가을부터 이듬해 봄까지 유행하는 일반적인 계절성 인플루엔자의 한 종류로 보는 게 합당하다고 밝히기도 했다. 세계보건기구 역시 지난 8월에 마찬가지의 입장을 밝힌 바 있다.해마다 가을철부터 유행하는 계절성 인플루엔자의 경우 평소 건강한 사람은 증상이 평소보다는 조금 심한 감기처럼 지나가지만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 만성질환자, 임신부 등은 폐렴 등의 합병증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 철저한 손씻기 등 개인위생습관과 함께 예방접종을 잘 챙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충북지부 건강증진의원의 도움을 받아 인플루엔자에 대해 알아보자
◆인플루엔자는 어떤 질병인가.
흔히 '독감'이라고 불리며 호흡기를 통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돼 갑자기 고열, 두통, 근육통, 피로감, 인후통, 기침, 가래, 콧물 등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건강한 사람은 수 일간 증상을 보인 후 회복되지만 만성폐질환자, 심장질환자, 면역저하자 등은 폐렴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해 사망할 수도 있는 질환이다.
◆인플루엔자에 걸리면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
열감(발열), 두통, 전신쇠약감, 마른기침, 인후통, 코막힘 및 근육통 등이 흔한 증상이다. 어린이의 경우에는 성인과는 달리 오심, 구토 및 설사 등의 위장관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인플루엔자에 걸리면 어떤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나.
인플루엔자는 합병증으로 세균성 폐렴, 탈수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울혈성 심부전증이나 천식, 당뇨 등 기존에 앓고 있던 만성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 어린이의 경우에는 합병증으로 부비동염(축농증)과 중이염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노인과 만성 질환이 있는 사람에서 중대한 합병증의 발생 위험이 더 크기 때문에 이들에게는 예방접종을 권고한다.
◆바이러스에 노출된 후 얼마 만에 증상이 나타나나.
바이러스에 노출된 후 보통 1~4일(평균 2일)정도 지나면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인플루엔자 환자의 경우 나이에 따라서 전염기간에 차이가 있는데, 성인의 경우 증상이 생기기 하루 전부터 증상이 생긴 후 3~7일 동안 전염력이 있으나 소아의 경우에는 일주일 이상 전염력이 있는 경우도 있다.
◆인플루엔자 예방주사를 맞으면 감기가 예방되나.
인플루엔자가 흔히 독감이라고 불리기 때문에 감기와 같은 병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 둘은 서로 원인이 다른 질병이다.
인플루엔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서 발병하며 일반적인 감기증상 외에도 고열, 근육통, 무기력증과 같은 전신증상이 심하게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받았다고 일반 감기까지 예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방접종 때문에 인플루엔자에 걸릴 수도 있나.
그렇지 않다. 예방백신에 사용되는 바이러스는 죽이거나 약화시킨 바이러스로 질병을 일으킬 능력이 없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얼마나 효과가 있나.
건강한 젊은 사람에서는 약 70~90%의 예방효과가 있으나 노인이나 만성질환이 있는 사람에서는 효과가 약간 떨어진다. 하지만 노인이나 만성질환자의 경우에는 인플루엔자 예방주사로 입원을 줄이고 인플루엔자로 인한 사망을 줄이는 데 매우 효과적이므로 이들은 인플루엔자 예방주사를 맞는 것이 좋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매년 맞아야 하나.
그렇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계속적인 항원변이를 통해 아형이 변하기 때문에 매년 유행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적합한 백신이 개발된다. 따라서 우선접종 권장대상자인 경우는 매년 맞아야 한다.
◆인플루엔자에 걸렸을 때에 일반적인 치료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면서 음주나 흡연은 삼가는 것이 좋다.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약제를 복용할 수도 있으나 합병증이 없는 인플루엔자의 경우에는 항생제 치료는 효과가 없다.
◆임신기간 동안에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해도 괜찮은가.
임신 동안 인플루엔자 백신접종은 금기사항이 아니며 오히려 임신 시 인플루엔자 감염은 일반인에 비해 인플루엔자 감염으로 인한 합병증 위험성이 더 크기 때문에 접종을 권고한다. 임신 시기에 상관없이 현재 생산 중인 인플루엔자 백신은 안전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도움말-한국건강관리협회 충북지부 건강증진의원
고형석 기자 koh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