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공사 신설 노선 중 유독 대전·충남지역의 노선만 예산 부족을 이유로 개통이 지연된 것으로 나타나 이 역시 ‘충청 홀대’가 아니냐는 지적이 대두되고 있다.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소속 자유선진당 권선택 의원(대전 중구)은 12일 “2000년 이후 도로공사가 신설한 전국 고속도로 35개 노선 가운데 단 3개의 노선만이 개통이 지연됐다”면서 “이 중 2개 노선이 모두 대전·충남지역 노선이었다”고 주장했다.
권 의원에 따르면 개통이 지연된 노선은 무안~광주, 당진~대전, 서천~공주 등 3곳.
이 가운데 무안~광주 노선의 경우 호남대학교 통과 노선 변경 등 지역의 요구가 반영되면서 개통 시기가 연기된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대전·충남지역인 당진~대전 노선(2008년 12월 31일 개통 예정)과 서천~공주 노선(2008년 12월 31일 개통 예정)은 단지 ‘예산 부족’이라는 이유만으로 두 노선 모두 2009년 5월 28일로 개통일이 연기된 것으로 파악됐다.
권 의원이 도로공사에서 이들 두 노선의 개통 지연 이유로 ‘예산 부족’을 든 것에 대해 문제점을 삼는 이유는 같은 기간 동안 다른 지역의 노선은 예정대로 공사가 진행·개통했다는 점 때문이다.
실제 지난 2008년 12월 31일 개통예정이었던 당진~대전, 서천~공주 노선이 예산부족을 이유로 개통이 지연된 상황에서 부산~울산 노선은 예정대로 2008년 12월 29일 개통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충남지역 노선은 ‘돈이 없어 공사를 중단해야 한다’면서도, 영남지역 노선은 ‘돈이 있어 공사를 착실히 진행했다’는 셈이다.
권 의원은 이에 대해 “대전·충남지역은 한반도의 중심에 위치한 교통·물류의 심장부”라면서 “향후 대전·충남지역이 도로공사에게 푸대접 받는 일이 없도록 공정하게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대전·충남지역 시민사회단체와 정가에선 “대전·충남에 대한 정부와 정치권의 보이지 않는 차별과 무시가 그대로 반영된 대목으로 보인다”며 “유독 대전·충남지역 공사만 예산이 없다며 지연시킨 이유에 대해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이 같은 일은 단지 도로공사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닐 것”이라며 “국비 확보나 예산 배정, 국책 사업 유치 등에서 대전·충남지역이 불이익을 받고 차별을 당하는 일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소속 자유선진당 권선택 의원(대전 중구)은 12일 “2000년 이후 도로공사가 신설한 전국 고속도로 35개 노선 가운데 단 3개의 노선만이 개통이 지연됐다”면서 “이 중 2개 노선이 모두 대전·충남지역 노선이었다”고 주장했다.
권 의원에 따르면 개통이 지연된 노선은 무안~광주, 당진~대전, 서천~공주 등 3곳.
이 가운데 무안~광주 노선의 경우 호남대학교 통과 노선 변경 등 지역의 요구가 반영되면서 개통 시기가 연기된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대전·충남지역인 당진~대전 노선(2008년 12월 31일 개통 예정)과 서천~공주 노선(2008년 12월 31일 개통 예정)은 단지 ‘예산 부족’이라는 이유만으로 두 노선 모두 2009년 5월 28일로 개통일이 연기된 것으로 파악됐다.
권 의원이 도로공사에서 이들 두 노선의 개통 지연 이유로 ‘예산 부족’을 든 것에 대해 문제점을 삼는 이유는 같은 기간 동안 다른 지역의 노선은 예정대로 공사가 진행·개통했다는 점 때문이다.
실제 지난 2008년 12월 31일 개통예정이었던 당진~대전, 서천~공주 노선이 예산부족을 이유로 개통이 지연된 상황에서 부산~울산 노선은 예정대로 2008년 12월 29일 개통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충남지역 노선은 ‘돈이 없어 공사를 중단해야 한다’면서도, 영남지역 노선은 ‘돈이 있어 공사를 착실히 진행했다’는 셈이다.
권 의원은 이에 대해 “대전·충남지역은 한반도의 중심에 위치한 교통·물류의 심장부”라면서 “향후 대전·충남지역이 도로공사에게 푸대접 받는 일이 없도록 공정하게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대전·충남지역 시민사회단체와 정가에선 “대전·충남에 대한 정부와 정치권의 보이지 않는 차별과 무시가 그대로 반영된 대목으로 보인다”며 “유독 대전·충남지역 공사만 예산이 없다며 지연시킨 이유에 대해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이 같은 일은 단지 도로공사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닐 것”이라며 “국비 확보나 예산 배정, 국책 사업 유치 등에서 대전·충남지역이 불이익을 받고 차별을 당하는 일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희철 기자 seeker@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