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이 방과후학교 학부모부담액 증가율은 높고 특수교육 담당교원 충원율은 최하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 변재일 의원이 제공한 교육과학기술부 ‘방과후학교 학부모 부담액 현황’ 자료에 의하면 2009년 충북도 학부모가 방과후학교에 지출한 금액은 333억 7680만 원으로 지난해의 262억 6592억 원보다 27% 증가, 전국에서 4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는 전국 평균 증가율 20.2%보다 크게 상회하는 것이다. 또 충북도의 특수교원 충원율은 배치기준 정원 600명 가운데 확보된 정원은 278명으로 46.3%를 기록, 전국 최하위권에 머물러있다. 교육과학기술부에서도 특수교원 충원율 저조 지역인 충북, 울산, 경기를 집중 관리하고 있으나 여전히 충원율은 50%를 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변 의원은 "방과후학교비용이 현재와 같은 추세로 늘어난다면 학부모들에게 사교육비 못지않게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는 만큼 공교육 강화의 대안으로 역할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며 “장애아들의 교육권보장을 위해 특수교사정원 확보는 반드시 해결해야할 문제다"라고 강조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국회 교육과학기술위 변재일 의원이 제공한 교육과학기술부 ‘방과후학교 학부모 부담액 현황’ 자료에 의하면 2009년 충북도 학부모가 방과후학교에 지출한 금액은 333억 7680만 원으로 지난해의 262억 6592억 원보다 27% 증가, 전국에서 4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는 전국 평균 증가율 20.2%보다 크게 상회하는 것이다. 또 충북도의 특수교원 충원율은 배치기준 정원 600명 가운데 확보된 정원은 278명으로 46.3%를 기록, 전국 최하위권에 머물러있다. 교육과학기술부에서도 특수교원 충원율 저조 지역인 충북, 울산, 경기를 집중 관리하고 있으나 여전히 충원율은 50%를 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변 의원은 "방과후학교비용이 현재와 같은 추세로 늘어난다면 학부모들에게 사교육비 못지않게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는 만큼 공교육 강화의 대안으로 역할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며 “장애아들의 교육권보장을 위해 특수교사정원 확보는 반드시 해결해야할 문제다"라고 강조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