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경호를 위한 대규모 경찰력이 동원되면서 지역 치안공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동원 경찰력을 대신해 자율방범대나 대학생 등 일반인이 투입될 예정이지만 범죄예방은 물론 강력범죄 발생 시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할지 여부는 미지수다.

조현오 경찰청장은 11일 경찰청 브리핑룸에서 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코엑스 주변 경계강화 등을 골자로 한 치안대책을 발표했다.

치안대책에 따르면 행사 기간(11월11일~12일)을 앞두고 오는 22일 전국 경계강화에 이어 11월 1일 서울지역 을호비상, 11월 6일에는 전국에 갑호비상이 발령된다.

또 경호에 만전을 기하기 위해 전국에서 동원되는 인력은 역대 최고 규모인 5만여 명 수준으로 경찰관 3만 명, 200여개 부대 2만여 명이 투입된다. 이에 따라 대전과 충남경찰청에서는 30~40% 안팎의 인력이 행사 일주일 전부터 순차적으로 차출될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지역에서 대규모 경찰력이 동원돼 치안공백이 우려되는 상황이지만 이번 대책에는 지구대·파출소 교대근무 강화, 자율방범대 및 생활안전협의회, 대학생 등 치안보조인력 투입 계획만 있을 뿐 지역 치안대책은 빠져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일선 지구대와 파출소는 일주일 이상 2부제 근무가 불가피해 이에 따른 경찰관 피로누적이 자칫 민생치안 소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게다가 체계적인 훈련을 받지 않고, 실무경험도 없는 경찰 협력단체와 대학생 등 일반인을 보조인력으로 참여시키는 방안 역시 강력범죄 발생 시 또 다른 피해를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경찰청은 G20 정상회의 기간 중 경찰관 근무 형태가 2부제로 전환되면 현재 4조2교대나 3조2교대 나눠 근무하던 인원이 일부 빠져도 휴무없이 밤낮으로 근무하기 때문에 오히려 치안 인력이 더 늘어난다는 입장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지방청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치안공백이 우려될 만큼 인력이 동원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G20 기간은 갑호비상 상황이기 때문에 휴가 등으로 빠지는 인력이 거의 없고, 협력단체까지 지원돼 오히려 평상시보다 강화된 치안 상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G20 정사회의 기간 중 서울 코엑스를 중심으로 반경 2㎞ 내외가 경호안전구역으로 설정돼 집회 및 시위 전면 금지는 물론 일반인 출입이 엄격히 제한되고, 코엑스 건물 외곽에는 '전통 담장형 분리대'가, 무역센터단지 외곽(현대백화점 제외)에는 '녹색 펜스', 반경 600m 외곽에는 높이 2.2m 안전방호벽이 각각 설치된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