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가 추진중인 조직개편과 관련해 최근 잠정안이 청내에 전해지자 뒷말이 무성하다.
통·폐합 대상 부서에선 현실을 고려치 않은 업무분장으로 업무공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줄을 잇는가 하면 직급 상향 조정은 특정인을 고려한 포석이라는 추측까지 난무하고 있다.
◆시립도서관-평생학습관, 주민지원과-사회복지과 통·폐합
지난 5일 청주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는 상임위원회를 열고 광역권 주민편익을 위한 행정기구 확대와 행정의 유사·중복기능 통·폐합 및 기능쇠퇴분야 축소 등을 골자로 한 '청주시 지방공무원 정원조례 일부개정 조례안'을 원안의결했다.
이 개정조례안에 따르면 일반직 직급별 정원이 4급의 경우 12명에서 13명으로 1명 늘고, 5급은 95명에서 97명으로 2명이 증가한다. 반면 6급 이하는 1283명에서 1280명으로 3명이 준다.
시는 해당조례 개정에 맞춰 4급의 경우 시립정도서관과 평생학습관을 통·폐합하고 4급 사업소장으로 격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 5급 2명은 상당·흥덕구청에 각각 현재 구청 주민지원과내 지역경제담당과 농축산담당, 건설교통과내 교통담당과 교통지도담당 등을 합친 지역경제과를 추가설치한다는 계획이다.
본청 주민지원과와 사회복지과를 통·폐합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중이다.
이 안에 따르면 2개과를 합치면서 주민지원과 내 총괄기획담당과 서비스연계담당은 사회복지과 복지기획담당과 생활보장담당으로 흡수되고, 시민지원담당과 통합조사1·2담당은 각각 양 구청과 자치행정과로 이동된다. 기존 사회복지과 내 담당은 모두 유지되고 목련공원담당과 방문간호담당이 신설된다.
◆업무공백 우려… 특정인 자리 만들어주기 의혹
이같은 잠정 조직개편안이 전해지자 청내 곳곳에서 볼멘소리가 새어나오고 있다.
주민지원과와 사회복지과가 통·폐합되는 과정에서 업무특성을 전혀 고려치 않은 재배정으로 업무공백이 발생할 우려가 크다는 것.
실제 서비스연계담당의 경우 현재 3명의 직원이 업무를 보고 있으나 잠정안에 따르면 생활보장담당에 흡수되면서 3명이 아닌 1명만 증원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획업무가 아닌 실제 대민업무를 담당해야 하는 부서 특성상 인력부족은 그 즉시 업무공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공무원은 "여건에 따라 부서가 통·폐합되거나 분리되는 일은 언제든지 있을 수 있는 일이지만 이에 따른 업무재배치는 업무특성을 충분히 고려해서 이뤄져야 한다"며 "단순 끼워맞추기식 조직개편에 따른 피해는 시민불편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사업소 통·폐합에 따른 4급 직급 상향을 바라보는 시선도 그리 곱지만은 않다.
비교적 규모가 작은 사업소 2곳만을 통·폐합하면서 고위직인 4급 기관장을 두려하는 것이 다소 상식에 벗어나다 보니 다른 의도가 있는 조직개편이라는 해석이다. 일각에서는 당분간 행정직 4급 승진 자리가 없다보니 특정인의 승진기회를 제공해주기 위한 포석 아니냐는 의혹까지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윤기민 총무과장은 "주민지원과와 사회복지과 통·폐합의 경우 구청의 주민지원과 기능을 강화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향후 업무에 차질이 없도록 인력분배도 적절하게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윤 과장은 이어 "시립도서관과 평생학습관의 통·폐합은 권역별 도서관 건립에 대비하는 한편 시민들의 여가생활 확대에 따른 평생교육강화 일환으로 수원, 성남 등 일정규모 이상의 도시에선 일반화돼 있다"고 덧붙였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
통·폐합 대상 부서에선 현실을 고려치 않은 업무분장으로 업무공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줄을 잇는가 하면 직급 상향 조정은 특정인을 고려한 포석이라는 추측까지 난무하고 있다.
◆시립도서관-평생학습관, 주민지원과-사회복지과 통·폐합
지난 5일 청주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는 상임위원회를 열고 광역권 주민편익을 위한 행정기구 확대와 행정의 유사·중복기능 통·폐합 및 기능쇠퇴분야 축소 등을 골자로 한 '청주시 지방공무원 정원조례 일부개정 조례안'을 원안의결했다.
이 개정조례안에 따르면 일반직 직급별 정원이 4급의 경우 12명에서 13명으로 1명 늘고, 5급은 95명에서 97명으로 2명이 증가한다. 반면 6급 이하는 1283명에서 1280명으로 3명이 준다.
시는 해당조례 개정에 맞춰 4급의 경우 시립정도서관과 평생학습관을 통·폐합하고 4급 사업소장으로 격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 5급 2명은 상당·흥덕구청에 각각 현재 구청 주민지원과내 지역경제담당과 농축산담당, 건설교통과내 교통담당과 교통지도담당 등을 합친 지역경제과를 추가설치한다는 계획이다.
본청 주민지원과와 사회복지과를 통·폐합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중이다.
이 안에 따르면 2개과를 합치면서 주민지원과 내 총괄기획담당과 서비스연계담당은 사회복지과 복지기획담당과 생활보장담당으로 흡수되고, 시민지원담당과 통합조사1·2담당은 각각 양 구청과 자치행정과로 이동된다. 기존 사회복지과 내 담당은 모두 유지되고 목련공원담당과 방문간호담당이 신설된다.
◆업무공백 우려… 특정인 자리 만들어주기 의혹
이같은 잠정 조직개편안이 전해지자 청내 곳곳에서 볼멘소리가 새어나오고 있다.
주민지원과와 사회복지과가 통·폐합되는 과정에서 업무특성을 전혀 고려치 않은 재배정으로 업무공백이 발생할 우려가 크다는 것.
실제 서비스연계담당의 경우 현재 3명의 직원이 업무를 보고 있으나 잠정안에 따르면 생활보장담당에 흡수되면서 3명이 아닌 1명만 증원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획업무가 아닌 실제 대민업무를 담당해야 하는 부서 특성상 인력부족은 그 즉시 업무공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공무원은 "여건에 따라 부서가 통·폐합되거나 분리되는 일은 언제든지 있을 수 있는 일이지만 이에 따른 업무재배치는 업무특성을 충분히 고려해서 이뤄져야 한다"며 "단순 끼워맞추기식 조직개편에 따른 피해는 시민불편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사업소 통·폐합에 따른 4급 직급 상향을 바라보는 시선도 그리 곱지만은 않다.
비교적 규모가 작은 사업소 2곳만을 통·폐합하면서 고위직인 4급 기관장을 두려하는 것이 다소 상식에 벗어나다 보니 다른 의도가 있는 조직개편이라는 해석이다. 일각에서는 당분간 행정직 4급 승진 자리가 없다보니 특정인의 승진기회를 제공해주기 위한 포석 아니냐는 의혹까지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윤기민 총무과장은 "주민지원과와 사회복지과 통·폐합의 경우 구청의 주민지원과 기능을 강화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향후 업무에 차질이 없도록 인력분배도 적절하게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윤 과장은 이어 "시립도서관과 평생학습관의 통·폐합은 권역별 도서관 건립에 대비하는 한편 시민들의 여가생활 확대에 따른 평생교육강화 일환으로 수원, 성남 등 일정규모 이상의 도시에선 일반화돼 있다"고 덧붙였다.
전창해 기자 widesea@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