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 충남도청 대회의실에서 행정도시 정상추진 충청권 공동대책위원회 제 2차 운영위원회가 개최된 가운데 참석한 관계자들이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허만진 기자 hmj1985@cctoday.co.kr
 
 
행정도시 정상추진 충청권 공동대책위원회는 4일 충남도청 대회의실에서 제2차 운영위원회를 열고 각 단위별로 세종시 설치법에 대한 입장을 정리하기로 합의했다.

이상선 운영위원장을 비롯해 대전·충남·충북 등 충청권 3개 시·도와 연기·공주·청원 등 3개 시·군 대표 등 20여 명이 모인 이날 회의에서 공대위는 참여정부 시절 행정도시 계획안을 바탕으로 각 지자체 별 입장을 세부적으로 정리해 9일까지 제출키로 의견을 모았다.

하지만 이날 회의는 당초 세종시 설치법에 관한 충청권 의견을 녹여낼 수 있는 큰 그림이 나올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각 기관·단체별로 이견차를 나타내며 각자의 입장을 정리하는 수준으로 합의 내용이 크게 후퇴했다.

공대위는 이날 세종시 자치단체 출범기간을 2014년으로 정해 회의에 상정했으나 각 기관·단체별 이견이 커 합의는 실패했다.

진영은 연기군의회 세종시특위위원장은 “출범준비 기간 근거가 무엇인지 궁금하다”며 “특정안을 내놓고 토론을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강한 불만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어 박수현 충남도 정책특별보좌관은 “(공대위는) 어떤 것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미세한 차이를 녹여내는 기구로 주도적 의사안을 갖고 밀고 나가는 것이 아니다”라며 “(공대위 출범 제안서에 대해) 각 단위별로 별도 회의를 통해 세밀하게 토론한 후 자치단체장의 의견을 구해 입장을 정리하자”고 수정안을 제안했다.

이에 대해 공대위는 박 특보의 의견을 수렴해 세종시 설치법에 관한 사항을 각 기관·단체별로 정리해 의견을 모으기로 합의했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