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청원군 일부 지역의 세종시 편입여부가 11월 국회에서 결론이 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지역정가가 편입 여부에 따른 이해득실을 따지며 다가오는 총선에 미칠 영향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청주·청원지역 현역 국회의원들이 소속된 민주당은 청원군 부강면과 강내면 11개리의 세종시 편입 논란이 다가올 총선의 핫이슈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민주당은 청원군 일부 지역 세종시 편입 여부에 대한 결과가 현역 국회의원들에게는 크게 득될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민주당은 청원군 편입문제가 자칫 ‘땅만 내주고 얻은 것이 없다’는 최악의 여론에 휘말릴 경우 총선에서 고전을 면치 못할 수도 있다 점에서 신중하게 대처하고 있다.
이시종 충북도지사의 “세종시가 완벽한 광역자치단체라는 전제하에 주민의견을 수렴해 편입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세종시의 법적 지위가 완벽한 광역지자체가 아니고 일부를 충남이 관장하는 것이라면 협조할 수 없다”는 발언이 민주당의 입장을 그대로 대변해주고 있다. 다시말해, 청원군 일부 지역 세종시 편입문제가 잘 해결되더라도 현역 국회의원들에게는 긍정적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반면에 청원군 편입에 있어 지역이 실익을 챙기지도 못하면서 땅만 내줬다는 여론이 형성될 경우 2012년 총선에서 청주·청원지역 현역 국회의원들이 낙승을 장담하기 어려워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민주당으로서는 청원군 편입 문제가 그만큼 큰 짐이 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지사가 언급한 “광역지자체가 아닐 경우 협조할 수 없다”는 의미는 세종시 법적지위에 따라서 청원군 일부 지역 편입을 반대할 수도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 지사의 이같은 청원군 일부 지역 편입문제에 대한 입장에 청주·청원지역 국회의원들도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이 지사를 비롯해 지역국회의원들은 주민의견 수렴, 주민투표 실시에 대해 한목소리를 내면서 최악의 상황을 맞을 경우 빠져나갈 출구전략도 염두에 두고 있다.
청원군이 지역구인 변재일 의원도 해당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전수 여론조사를 실시하는 방안을 거론하는 등 편입여부 결과에 따른 부담을 덜어보기 위해 고심하는 분위기다.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청원군 세종시 편입문제는 2012년 총선까지 청주·청원지역에서 최대 선거이슈가 될 수 있다”며 “편입과 관련한 결과가 선거에서 미칠 영향을 감안한다면 주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하면서 책임론에 대한 부담감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민주당이 청원군 편입문제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는 가운데 여당인 한나라당의 정치공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한나라당은 “청원군 편입에 대한 반대 입장과 해당 지역주민들의 의사를 반영해야 한다”며 편입 문제에 대해 관심을 보이고 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청주·청원지역 현역 국회의원들이 소속된 민주당은 청원군 부강면과 강내면 11개리의 세종시 편입 논란이 다가올 총선의 핫이슈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민주당은 청원군 일부 지역 세종시 편입 여부에 대한 결과가 현역 국회의원들에게는 크게 득될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민주당은 청원군 편입문제가 자칫 ‘땅만 내주고 얻은 것이 없다’는 최악의 여론에 휘말릴 경우 총선에서 고전을 면치 못할 수도 있다 점에서 신중하게 대처하고 있다.
이시종 충북도지사의 “세종시가 완벽한 광역자치단체라는 전제하에 주민의견을 수렴해 편입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세종시의 법적 지위가 완벽한 광역지자체가 아니고 일부를 충남이 관장하는 것이라면 협조할 수 없다”는 발언이 민주당의 입장을 그대로 대변해주고 있다. 다시말해, 청원군 일부 지역 세종시 편입문제가 잘 해결되더라도 현역 국회의원들에게는 긍정적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반면에 청원군 편입에 있어 지역이 실익을 챙기지도 못하면서 땅만 내줬다는 여론이 형성될 경우 2012년 총선에서 청주·청원지역 현역 국회의원들이 낙승을 장담하기 어려워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민주당으로서는 청원군 편입 문제가 그만큼 큰 짐이 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지사가 언급한 “광역지자체가 아닐 경우 협조할 수 없다”는 의미는 세종시 법적지위에 따라서 청원군 일부 지역 편입을 반대할 수도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 지사의 이같은 청원군 일부 지역 편입문제에 대한 입장에 청주·청원지역 국회의원들도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이 지사를 비롯해 지역국회의원들은 주민의견 수렴, 주민투표 실시에 대해 한목소리를 내면서 최악의 상황을 맞을 경우 빠져나갈 출구전략도 염두에 두고 있다.
청원군이 지역구인 변재일 의원도 해당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전수 여론조사를 실시하는 방안을 거론하는 등 편입여부 결과에 따른 부담을 덜어보기 위해 고심하는 분위기다.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청원군 세종시 편입문제는 2012년 총선까지 청주·청원지역에서 최대 선거이슈가 될 수 있다”며 “편입과 관련한 결과가 선거에서 미칠 영향을 감안한다면 주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하면서 책임론에 대한 부담감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민주당이 청원군 편입문제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는 가운데 여당인 한나라당의 정치공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한나라당은 “청원군 편입에 대한 반대 입장과 해당 지역주민들의 의사를 반영해야 한다”며 편입 문제에 대해 관심을 보이고 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