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형생활주택이 대전지역 전세대란의 구원투수로 등장하고 있다.

특히 대전만의 특징인 1·2인가구 증가가 두드러지고 있다는 점에 도시형생활주택 수요는 소위 폭발적일것으로 건설업계는 분석되고 있어 전세난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3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올해 대전지역 도시형생활주택 인허가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 7월 99세대가 인·허가를 끝낸 상황이며 8월에는 211세대로 인·허가 세대가 급증했다.

이 같은 수치는 특·광역시와 시·도별 가운데 서울과 인천을 제외하고 가장 높은 인허가 현황을 보이고 있어 대전지역의 도시형생활주택에 대한 건설업계의 수익성 판단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대전지역의 경우 올해만 729세대가 인·허가를 마쳐 현재까지 준공현황 33세대를 훌쩍 뛰어넘는 수치를 보이고 있다.

이는 도시형생활주택이 건설기간도 6개월~1년 이내로 짧은 점을 감안한다면 전·월세 수요자들의 호응에 힘입어 전세가 안정에도 어느정도 기여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대전지역 도시형생활주택 건축사업은 전·월세수요가 몰려있는 서구와 유성구에 몰려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6월 둔산동, 용문동, 정림동 지역에 도시형생활주택 인가가 났으며 지난 7월에는 변동, 유성구 봉명동 지역도 도시형생활주택 인가를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대전지역 도시형생활주택 건축 붐은 연이은 건축규제 완화로 최대 299가구까지 지을 수 있게돼 사업성이 우수하다는 점과 1·2인 가구 비중이 대전지역 전체 가구수의 40%를 뛰어넘고 있어 사업성이 뚜렷하다는 점 때문이다.

대전지역 A 주택건설사 관계자는 “아파트 건설경기가 침체돼 분양을 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자 사업성이 확실하고 소형주택사업인 도시형생활주택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며 “대전지역은 주택보급률이 타 시도에 비해 많이 떨어지고 1·2인 가구 비율이 높다는 점에서 판단해도 도시형생활주택 수요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홍표 기자 dream7@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