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벤처기업의 창업이 수적 증가에도 불가하고 능동적인 기회형 창업은 줄고 수동적인 생계형 창업이 증가하는 등 환경은 오히려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방 벤처와 여성 벤처의 비중이 지나치게 낮은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30일 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와 대전테크노파크 주최로 열린 이노비즈(inno-biz) CEO클럽 간담회에서 서승원 중소기업청 창업벤처국장은 국내 벤처 환경의 현재와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이날 서 국장은 “올해 매출 1000억 원 이상의 벤처기업은 전국 240여 개로 전년 대비 20% 이상 상승해 낙관론도 나오고 있지만, 질적인 측면에서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의 벤처기업 창업 수는 OECD회원국 가운데 5위에 해당되지만, 이 가운데 기회형 창업은 OECD 회원국 중 최하위에 머물고 있다는 것.
특히 벤처 CEO 가운데 20~30대 비중은 2004년 48.4%에서 지난해에는 17.3%로 급감했고, 기회형 창업 비중 역시 지난해 전체 벤처 창업 중 3.7%에 불과하다.
대신 벤처 창업의 의도가 다른 직업이나 수입 구조가 없어 어쩔수 없이 선택하는 생계형 창업은 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국내 벤처 환경이 악화되면서 정부의 정책적 개선과 기업의 의식구조 개선 등의 대책이 동시에 요구되고 있다.
정부의 벤처기업 육성 정책 부족과 체계적 연계 미비, 퍼주기식 지원에 따른 기업인의 도덕적 해이 등의 개선 필요성은 물론 벤처기업의 창의성과 도전정신 부족도 도마위에 올랐다.
이와 함께 지방 벤처기업의 지원 강화 필요성도 강하게 제기됐다.
수도권 집중화 경향이 강한 우리나라의 경우 지방기업 문제가 경제 문제의 근본으로 확대되는 만큼 벤처 촉진지구를 중심으로 하는 지방 벤처 지원제도 개편과 지방 벤처 창업자금 사전 배분 등의 제도적 개선이 요구됐다.
이에 대해 서 국장은 “중기청은 현재 지나치게 세분화된 지방 지원 사업을 통합·체계화 하는 방안과 함께 지방 벤처와 여성 벤처를 집중 지원하는 제도적 장치 마련을 구상 중”이라고 밝혔다.
또 정부의 벤처 지원 정책이 창업에 편중되고 유지·발전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는 성준용 대덕대 총장의 지적에 대해 서 국장은 “인력 육성과 지원 기간 연장 등 벤처 기업들의 생존률을 높일 수 있는 많은 정책이 시행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
또 지방 벤처와 여성 벤처의 비중이 지나치게 낮은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30일 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와 대전테크노파크 주최로 열린 이노비즈(inno-biz) CEO클럽 간담회에서 서승원 중소기업청 창업벤처국장은 국내 벤처 환경의 현재와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이날 서 국장은 “올해 매출 1000억 원 이상의 벤처기업은 전국 240여 개로 전년 대비 20% 이상 상승해 낙관론도 나오고 있지만, 질적인 측면에서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의 벤처기업 창업 수는 OECD회원국 가운데 5위에 해당되지만, 이 가운데 기회형 창업은 OECD 회원국 중 최하위에 머물고 있다는 것.
특히 벤처 CEO 가운데 20~30대 비중은 2004년 48.4%에서 지난해에는 17.3%로 급감했고, 기회형 창업 비중 역시 지난해 전체 벤처 창업 중 3.7%에 불과하다.
대신 벤처 창업의 의도가 다른 직업이나 수입 구조가 없어 어쩔수 없이 선택하는 생계형 창업은 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국내 벤처 환경이 악화되면서 정부의 정책적 개선과 기업의 의식구조 개선 등의 대책이 동시에 요구되고 있다.
정부의 벤처기업 육성 정책 부족과 체계적 연계 미비, 퍼주기식 지원에 따른 기업인의 도덕적 해이 등의 개선 필요성은 물론 벤처기업의 창의성과 도전정신 부족도 도마위에 올랐다.
이와 함께 지방 벤처기업의 지원 강화 필요성도 강하게 제기됐다.
수도권 집중화 경향이 강한 우리나라의 경우 지방기업 문제가 경제 문제의 근본으로 확대되는 만큼 벤처 촉진지구를 중심으로 하는 지방 벤처 지원제도 개편과 지방 벤처 창업자금 사전 배분 등의 제도적 개선이 요구됐다.
이에 대해 서 국장은 “중기청은 현재 지나치게 세분화된 지방 지원 사업을 통합·체계화 하는 방안과 함께 지방 벤처와 여성 벤처를 집중 지원하는 제도적 장치 마련을 구상 중”이라고 밝혔다.
또 정부의 벤처 지원 정책이 창업에 편중되고 유지·발전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는 성준용 대덕대 총장의 지적에 대해 서 국장은 “인력 육성과 지원 기간 연장 등 벤처 기업들의 생존률을 높일 수 있는 많은 정책이 시행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재형 기자 180091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