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억 원의 예산을 들여 건립된 대전시청 남문광장 옥외화장실이 무용지물화 되고 있다.

게다가 미적감각의 건축 디자인에만 치중했을 뿐 본래 화장실의 역할은 퇴색하고 있다는 지적까지 제기되면서 대전시 ‘보여주기식’ 행정이라는 빈축을 사고 있다.

29일 대전시에 따르면 남문광장 옥외화장실은 둔산 도심 녹지축 개선사업의 일환으로 LH공사의 지원을 받아 지하 1층 지상 1층, 연면적 138.95㎡(42평) 규모로 사업비 4억1500만원이 투입돼 조성됐으며, 장애인화장실과 유아용화장실, 일반화장실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시는 화장실의 기능보다 친환경적인 외관의 아름다움과 시설물 내부가 보이는 열린 개념의 미래지향적인 이미지를 구현, 시민에게 볼거리를 안겨줄 수 있는 명품건축물로만 홍보해 왔다.

또 시청사 관리비로만 연간 40여억 원 이상을 지출하고 있는 가운데 시민들로부터 외면받는 옥외화장실 관리비라까지 부담해 혈세낭비를 부추기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지역주민들은 평당 가격 1000만 원을 호가, 인근 30~40평대 아파트 매매가를 웃도는 수준의 화장실이 시청광장에 들어선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박 모(서구 갈마동·36) 씨는 “물론 화장실이 없는 것보다 있는 것이 더 좋겠지만 시청로비 화장실과 주변상가 화장실이 있는데도 꼭 시청광장에 또 지을 필요가 있었는지 의문”이라며 “정작 화장실이 필요한 곳인 쉼터공간에는 화장실이 없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또 시청 남문광장 화장실에 투입된 건축비용이면 최신식 화장실 2~3개는 더 지을 수 있는데도 이를 무시한 것은 과소비로 볼 수밖에 없다는 것이 관련 건설업체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문제는 대전시가 LH공사의 건축비 전액을 지원(기부체납형식) 받으면서까지 공공화장실 미흡지역이 아닌 시청광장에 초호화 화장실을 조성할 필요가 있었느냐는 것이다.

LH공사 관계자는 “정부청사 옆 터미널부지를 사업용지로 용도변경하면서 그 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보고 대전시에 무상으로 화장실을 건축해줬다”며 “당초 시의 요청이 있었다면 시청남문광장이 아니더라도 타지역에 화장실을 지어 줄 계획도 있었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평상시 화장실 이용자들이 뜸한 것은 사실이지만 주말이나 행사 개최 시에는 붐비는데다 시청 인근지역은 인적이 많은 곳이기 때문에 옥외 화장실이 하나쯤은 꼭 필요하다”며 “건축비는 전액 LH공사가 지원해 줬고, 청사관리비에 포함돼 있어 별도로 화장실 관리비를 책정할 수 없지만 전기세, 냉방비, 수도세 등 소소한 부분에만 관리비용이 지출돼 건축부터 운영에 이르기까지 운영비용 부담은 전혀 없다”고 말했다.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