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해 발행하고 있는 '온누리상품권'의 판매는 증가한 반면 회수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7월말부터 취급된 온누리상품권이 정부기관이나 대기업 등의 지원으로 널리 유통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이를 사용하는 일반 시민들의 상품권 사용 저조와 일부 재래시장상인들의 외면으로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29일 충북지방중소기업청과 새마을금고연합회 충북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7월 22일부터 지난 27일까지 충북에서 판매된 온누리상품권의 판매금액은 18억 9713만 원으로 전국 판매액(506억 6008만 원)의 3.8%를 기록했다.

이는 충북과 도세가 비슷한 강원(1.8%)과 전북(1.9%)보다 높은 판매율을 기록했다.

이 같이 상품권 판매율은 높지만 회수율은 12억 2588만 5000원(60.2%)으로 집계되면서 상품권 회수율은 판매금액의 절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액으로는 6억 7124만 5000원이 시민들과 상인들의 주머니 속에 잠자고 있는 것이다.

이와 달리 인천(124.2%)과 광주·전남(98.3%), 제주(108%) 등의 회수율은 100%를 훨씬 웃돌면서 도내 상품권 이용에 대한 홍보와 유통구조에 대한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당초 전통시장 활성화를 목적으로 도입된 온누리상품권이지만 일반 시민들의 사용이 저조함에 따라 시간이 지날수록 정부차원의 부담만 가중되고 재래시장 상인들의 속앓이도 심해지고 있는 것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게다가 전국에 배당된 622억 4670만 원어치 상품권에 대한 발행과 회수에 드는 수수료 2~4% 부분은 정부에서 지급하기로 돼 있어 수억 원이 상품권 수수료로 지급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정부에서도 온누리상품권 구매를 지난해와 비교해 절반도 안되는 4억 원가량으로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충북중기청 관계자는 "도내 온누리상품권의 지속적인 판매촉진을 위해 전통시장 장보기행사 등과 같은 다양한 홍보활동을 펼치고 있다"며 "타 지역과 비교해 회수율이 떨어지는 것은 지역규모와 환경에 의한 차이로 상품권 회수에 대한 부분은 시기상의 차이일 뿐"이라고 말했다.

이정현 기자 cooldog72@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