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대덕R&D특구 내 대동·금탄동 일원에 녹색·첨단의료관광복합도시가 조성된다.
대전시는 민선5기 공약사업의 원활한 추진과 대구, 광주 등 정부의 특구 추가 지정 움직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덕R&D특구 3단계 개발사업(가칭-대덕특구 2단계 개발사업 확장계획) 추진을 검토 중이라고 28일 밝혔다.
특구 3단계 개발 사업은 대동·금탄·용산 등 3개 지구로 나눠 각각 252만 3191㎡, 162만 7268㎡, 34만 6000㎡ 등 모두 449만 6459㎡ 규모로, 수용 및 사용에 의한 민·관 합동 개발방식(SPC) 형태로 추진될 예정이다.
시는 빠른 시일 내 대덕특구 2단계 개발사업 확장계획안을 확정지은 뒤 연말까지 기획재정부에 사업 승인을 요청, 내년부터 오는 2015년까지 조성키로 했다.
계획안에 따르면 대동·금탄지구에는 △녹색 신재생에너지 단지 △U-헬스케어 단지 △녹색의료관광단지 △저탄소 그린빌리지 등의 시설들이 들어서게 된다.
시는 대동·금탄에 녹색의료관광단지를 조성, 인근 신동과 둔곡지구의 나노융합기술 실증화 단지와 연계해 대덕R&D특구를 녹색기술산업의 클러스터로 조성,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특히 바이오와 첨단의료를 중심핵으로 이 일대를 녹색·첨단의료관광복합도시로 개발, 과학과 자연이 조화된 미래형 신도시로 전략 육성한다는 것이 기본 골격이다.
여기에 첨단 산업단지 조성과 함께 지원과 주거, 교육·연구공간을 최대한 확보해 단일 단지에서 업무와 생활, 여가가 가능한 오픈 스페이스로 개발할 방침이다.
시는 또 음식물자원화시설, 에너지공급시설, 태양광 발전단지, 물산업클러스터, 하수처리장 등 환경에너지 시설을 집적화하는 등 녹색도시의 친환경적인 통합체계도 고려했다.
사업지구의 계획인구는 모두 3만여 명으로 이를 수용하기 위한 1만 1517가구의 주택건설계획도 수립됐다.
총사업비는 1조 4604억 7100만 원으로 추정되며, 이 가운데 용지비 및 보상비는 모두 6562억 7100만 원으로 전체 사업비의 44.9%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이 지역이 개발제한구역이라는 점을 감안, 공공부문이 50%의 지분을 갖고, 민간부분은 50% 이하로 제한하는 SPC방식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녹색의료관광복합도시를 건설하는 한편 대덕R&D특구 내 정부 출연연, KAIST 등 융복합 연구역량을 활용할 수 있는 연관업종을 유치, 이 일대를 녹색기술산업 클러스터로 전략 육성해 지역의 신성장 동력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
대전시는 민선5기 공약사업의 원활한 추진과 대구, 광주 등 정부의 특구 추가 지정 움직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덕R&D특구 3단계 개발사업(가칭-대덕특구 2단계 개발사업 확장계획) 추진을 검토 중이라고 28일 밝혔다.
특구 3단계 개발 사업은 대동·금탄·용산 등 3개 지구로 나눠 각각 252만 3191㎡, 162만 7268㎡, 34만 6000㎡ 등 모두 449만 6459㎡ 규모로, 수용 및 사용에 의한 민·관 합동 개발방식(SPC) 형태로 추진될 예정이다.
시는 빠른 시일 내 대덕특구 2단계 개발사업 확장계획안을 확정지은 뒤 연말까지 기획재정부에 사업 승인을 요청, 내년부터 오는 2015년까지 조성키로 했다.
계획안에 따르면 대동·금탄지구에는 △녹색 신재생에너지 단지 △U-헬스케어 단지 △녹색의료관광단지 △저탄소 그린빌리지 등의 시설들이 들어서게 된다.
시는 대동·금탄에 녹색의료관광단지를 조성, 인근 신동과 둔곡지구의 나노융합기술 실증화 단지와 연계해 대덕R&D특구를 녹색기술산업의 클러스터로 조성,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특히 바이오와 첨단의료를 중심핵으로 이 일대를 녹색·첨단의료관광복합도시로 개발, 과학과 자연이 조화된 미래형 신도시로 전략 육성한다는 것이 기본 골격이다.
여기에 첨단 산업단지 조성과 함께 지원과 주거, 교육·연구공간을 최대한 확보해 단일 단지에서 업무와 생활, 여가가 가능한 오픈 스페이스로 개발할 방침이다.
시는 또 음식물자원화시설, 에너지공급시설, 태양광 발전단지, 물산업클러스터, 하수처리장 등 환경에너지 시설을 집적화하는 등 녹색도시의 친환경적인 통합체계도 고려했다.
사업지구의 계획인구는 모두 3만여 명으로 이를 수용하기 위한 1만 1517가구의 주택건설계획도 수립됐다.
총사업비는 1조 4604억 7100만 원으로 추정되며, 이 가운데 용지비 및 보상비는 모두 6562억 7100만 원으로 전체 사업비의 44.9%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이 지역이 개발제한구역이라는 점을 감안, 공공부문이 50%의 지분을 갖고, 민간부분은 50% 이하로 제한하는 SPC방식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녹색의료관광복합도시를 건설하는 한편 대덕R&D특구 내 정부 출연연, KAIST 등 융복합 연구역량을 활용할 수 있는 연관업종을 유치, 이 일대를 녹색기술산업 클러스터로 전략 육성해 지역의 신성장 동력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진환 기자 pow1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