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국회에서 지역현안 해결 방안이 다각도로 모색되면서 충청권 이해관계를 관철할 수 있는 원내 교섭단체 구성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어 주목된다.

특히 세종시 설치 특별법, 지역 예산 등 국회의원들이 주도적으로 해 나가야 하는 일들이 비교섭단체라는 벽에 부딪쳐 어려움을 겪으면서 원내 20석을 확보해 교섭단체를 구성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교섭단체가 구성되면 정기국회에서 제3세력으로 활동할 수 있는데 우선 각 상임위 간사를 맡아 국회 운영에 직접 참여하게 된다. 예산결산특위에서도 제3교섭단체로의 위력이 발휘될 경우 지지부진한 지역 예산안 확보에 큰 힘이 될 수 있다.

충청권 지역의원들로만 구성된 자유선진당은 비례대표를 포함해 16석으로 원내교섭단체에 4석이 모자란 상황이다. 그러나 창조한국당, 국민중심연합 등과 연대할 경우 충분히 20석을 만들 수 있는 여건으로 선진당 내에서도 논의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실제 창조한국당 이용경·유원일 의원(비례)이 합류하고 무소속 이인제 의원(논산·금산)이 참여할 경우 19석이 되고 국민중심연합 심대평 대표(공주·연기)가 합류하면 20석이 된다. 이 경우 국회법에 따라 정당을 유지하면서 교섭단체 구성이 가능해 각 당과 의원은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전략적 제휴’가 가능한 상황이다.

선진당 관계자는 “교섭단체 구성을 위해 실무적인 검토까지 이뤄진 상황으로 의원들의 결단이 필요하다”며 교섭단체 구성 가능성을 시사했다. 다만 심 대표가 속한 국민중심연합의 경우 ‘구체적인 논의가 없었다’며 소극적 입장을 나타내고 있어 성사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서울=김종원 기자 kjw@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