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에서 발생한 뺑소니 교통사고가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뺑소니 사고로 인한 사상자가 매년 늘고 있지만 검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목격자 제보가 적어 미제사건도 적지 않은 수준이다.
27일 대전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뺑소니 발생건수는 433건으로 2008년 366건보다 18.3% 증가했다.
2008년 뺑소니 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1명, 부상자는 586명인데 반해 지난해 사망자는 3명, 부상자도 767명으로 늘었다.
또 뺑소니범 검거도 크게 줄어 2008년 90.2%이던 검거율이 지난해 85.0%로 5.2% 줄었고, 미검자도 36명에서 65명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뺑소니 사고의 주요원인은 전방주시 태만 등 안전운전의무 불이행이 244건(56.4%)으로 가장 많았고, 신호위반 44건(10.2%), 중앙선 침범 29건(6.7%) 등으로 나타났다.
뺑소니 사고 운전자가 달아난 이유 중 처벌이 두려워서가 126건(29.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음주운전 110건(25.4%), 무면허 28건(6.5%) 등의 순이었다.
또 뺑소니범 검거는 초동조치 및 검문.검색이 168건(38.9%)로 가장 많았고, 목격자 및 피해자 제보가 30건(21.5%)로 검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지난 5월 4일 오후 9시28분경 대전시 동구 판암동 LG전자 앞 횡단보도에서 길을 건너던 40대 여성이 뺑소니 차량에 치여 숨졌지만 목격자 제보가 없어 경찰 수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고 직후 유족과 경찰은 사고 현장 인근에 목격자를 찾는 현수막을 내걸고, 전단을 돌렸지만 벌써 4달이 지나도록 변변한 제보조차 없는 상황이다.
이처럼 목격자 제보가 뺑소니범 검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만 제보자에 대한 턱없는 보상과 시민들의 무관심으로 적극적인 제보가 이뤄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많다.
현재 뺑소니범 검거에 결정적인 제보를 한 경우 사망사고는 500만 원 이하, 중상사고는 50만 원 이하의 포상금 지급과 벌점 경감 혜택을 주지만 관련 예산은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올해 대전경찰청의 뺑소니 포상금 예산은 총 620만 원으로 아미저도 5개 경찰서가 나눠 쓰고 있다.
이 때문에 지급 포상금도 사망사고 제보를 하더라도 많아야 50만~100만 원 이하, 중상사고는 10만~30만 원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경찰의 뺑소니범 검거에 CCTV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만 뺑소니 사고가 많은 도심 외곽지역은 설치대수가 적어 수사에 어려움을 겪는 실정이다.
한 경찰 관계자는 "대부분 뺑소니범 검거는 목격자 제보와 CCTV 영상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만 이런 증거가 확보되지 않으면 장기 미제사건으로 빠지는 경우가 많다"며 "뺑소니범은 발생 초기단계에서 검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에 시민들의 적극적인 제보만이 사건해결의 결정적인 열쇠"라고 강조했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
특히 뺑소니 사고로 인한 사상자가 매년 늘고 있지만 검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목격자 제보가 적어 미제사건도 적지 않은 수준이다.
27일 대전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뺑소니 발생건수는 433건으로 2008년 366건보다 18.3% 증가했다.
2008년 뺑소니 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1명, 부상자는 586명인데 반해 지난해 사망자는 3명, 부상자도 767명으로 늘었다.
또 뺑소니범 검거도 크게 줄어 2008년 90.2%이던 검거율이 지난해 85.0%로 5.2% 줄었고, 미검자도 36명에서 65명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뺑소니 사고의 주요원인은 전방주시 태만 등 안전운전의무 불이행이 244건(56.4%)으로 가장 많았고, 신호위반 44건(10.2%), 중앙선 침범 29건(6.7%) 등으로 나타났다.
뺑소니 사고 운전자가 달아난 이유 중 처벌이 두려워서가 126건(29.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음주운전 110건(25.4%), 무면허 28건(6.5%) 등의 순이었다.
또 뺑소니범 검거는 초동조치 및 검문.검색이 168건(38.9%)로 가장 많았고, 목격자 및 피해자 제보가 30건(21.5%)로 검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지난 5월 4일 오후 9시28분경 대전시 동구 판암동 LG전자 앞 횡단보도에서 길을 건너던 40대 여성이 뺑소니 차량에 치여 숨졌지만 목격자 제보가 없어 경찰 수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고 직후 유족과 경찰은 사고 현장 인근에 목격자를 찾는 현수막을 내걸고, 전단을 돌렸지만 벌써 4달이 지나도록 변변한 제보조차 없는 상황이다.
이처럼 목격자 제보가 뺑소니범 검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만 제보자에 대한 턱없는 보상과 시민들의 무관심으로 적극적인 제보가 이뤄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많다.
현재 뺑소니범 검거에 결정적인 제보를 한 경우 사망사고는 500만 원 이하, 중상사고는 50만 원 이하의 포상금 지급과 벌점 경감 혜택을 주지만 관련 예산은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올해 대전경찰청의 뺑소니 포상금 예산은 총 620만 원으로 아미저도 5개 경찰서가 나눠 쓰고 있다.
이 때문에 지급 포상금도 사망사고 제보를 하더라도 많아야 50만~100만 원 이하, 중상사고는 10만~30만 원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경찰의 뺑소니범 검거에 CCTV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만 뺑소니 사고가 많은 도심 외곽지역은 설치대수가 적어 수사에 어려움을 겪는 실정이다.
한 경찰 관계자는 "대부분 뺑소니범 검거는 목격자 제보와 CCTV 영상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만 이런 증거가 확보되지 않으면 장기 미제사건으로 빠지는 경우가 많다"며 "뺑소니범은 발생 초기단계에서 검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에 시민들의 적극적인 제보만이 사건해결의 결정적인 열쇠"라고 강조했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