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대전발전연구원이 주최한 정책기획세미나가 27일 오페라웨딩홀에서 열려 조명래 단국대 교수가 '세종시의 미래와 대전시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이 세미나는 매월 개최된다. 김호열 기자 kimhy@cctoday.co.kr | ||
이에 따라 세종시 건설 초기단계 부족한 도시기능을 보완하고, 향후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광역도시권 형성에 구심점이 돼야 한다는 대전시의 역할론이 주요 과제로 떠오를 전망이다.
대전발전연구원은 27일 오전 서구 둔산동 오페라웨딩홀에서 '세종시와 대전의 미래'를 주제로 기획 세미나를 열고, 세종시 이전기관 변경고시 이후 배후도시로서 대전의 발전방안을 제시했다.
이날 세미나는 김안제 전 신행정수도건설추진위원장의 기조발제에 이어 조명래 단국대 교수의 '세종시의 미래와 대전시의 역할' 주제발표, 황웅상 시의회 행정자치위원장, 변창흠 세종대 교수, 금홍섭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사무처장, 신천식 대전충청미래포럼 대표 등의 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주제발표에서 조명래 교수는 정부가 원안대로 9부2처2청을 포함한 53개 공공기관을 옮기고, 세제혜택을 통해 민간기업 이전을 유도하는 등의 소극적인 방식은 원안다운 세종시 건설이 아닌 과천과 같은 ‘행정타운’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세종시 이전기관을 중심으로 산업, 교육, 문화, 환경 등의 측면에서 수도권에 대응할 수 있는 복합거점기능을 실체적이고 공세적인 방식으로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 교수는 이를 위해 세종시를 국가 중심도시로 육성하기 위한 필수조건으로 배후도시인 대전시와의 상생론과 역할론이 핵심과제임을 강조했다.
조 교수에 따르면 건설 초기인 2013년 대전시는 배후(후견인)도시로 정부부처 및 관련기관 종사자들의 부족한 교육, 의료, 행정, 쇼핑 등의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고, 초기 이주자들의 대체 주거지를 공급한다.
2015년에서 2020년 사이인 자족성숙 단계에서 대전시는 세종시와 경쟁과 협력관계를 유지하면서 광역권 거점도시로서 역량을 갖추는 데 집중해야 한다.
또 행정중심복합도시로서 세종시를 완성시키는 단계인 2020년에서 2030년 사이 대전시를 중심으로 광역도시 네트워크를 구축, 수도권의 대항권역을 만드는 데 집중해야 하며 이를 위해 충북 청원군, 청주시, 충남 공주·계룡시 등 인근 9개 지자체를 묶어 하나의 광역도시권을 조성해야 한다고 조 교수는 주장했다.
조 교수는 세종시 조성과정에서 대전시와 협력과 업무공조가 불가피한 만큼 효율적인 대처를 위해 '(가칭) 광역도시협력위원회' 설치도 제안했다.
조 교수는 "세종시가 당초 목적과 달리 축소 조성되면 대전시의 도시서비스에 의존하는 기생도시가 될 것"이라며 "대전시는 세종시를 기회로 적극적인 배후도시 역할을 수행하면서 광역 거점도시로 성장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