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가 경제자유구역 지정 무산에 대비한 대안을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져 일부 핵심현안의 궤도수정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도는 지난 5월 청주·청원·증평 19.45㎢에 대한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지식경제부에 신청했다.

하지만 지난 6·2지방선거 이후 정부가 기존 경제자유구역에 대한 구조 조정에 들어가는 한편 신규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강화하기로 했다. 여기에 지난 7·28보궐선거에서 국회 입성에 성공한 한나라당 윤진식 의원이 자신의 공약사업인 충주경제자유구역 지정 추진을 밝히면서 중복 추진에 따른 부담을 안게 되는 등 지정 여건의 악화로 난항이 예상돼 왔다.

도는 정부의 신규지정 강화 등 여건 악화속에서도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이 오송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한 외자 유치에 절대적으로 필요한다는 점에서 적극적인 추진 의사를 밝혔다.

그러나 일각에서 회의론이 일면서 경제자유구역 지정 무산을 대비해 연구개발특구 유치를 대안으로 검토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따라 경제자유구역 지정 불발에 대비한 연구개발특구 대안이 대두되고 있다.

도는 내년 상반기까지 충북경제자유구역 지정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무산될 경우에도 대비해 현행법상 외국대학, 병원 유치가 가능한 또다른 방안으로 연구개발특구 지정 추진을 검토하고 있다.

이 연구개발특구 지정은 기존 대덕 연구개발특구의 확대 또는 세종시·오송·오창을 연계해 신규로 지정받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의료계의 한 관계자는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등이 충북의 산업지도를 바꿔 놓게 되는 시점에서 성공적 조성을 위한 여건 조성이 필요하다”며 “외자유치를 위한 여건을 조성하지 못할 경우 또다른 대안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도 관계자는 “경제자유구역 지정은 인프라 등 지정 여건이 매우 좋아 낙관적으로 보고 있다”며 “오송메디컬시티 구상이 다소 변경되기는 하지만 당분간 내용수정 등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역정가의 한 관계자는 “윤진식 의원과 우건도 충주시장이 충주경제자유구역 지정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어 충북도와의 조율이 쉽지만은 않을 것 같다”며 “충북의 미래산업이 될 바이오산업 육성에 필요하다면 여러 가지 대안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엄경철 기자 eomkc@cctoday.co.kr
Posted by 충투 기자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