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지방선거를 통해 출범한 대전·충남지역 광역·기초의회의 분위기가 달라졌다는 평가다.
과거 밥그릇 다툼에 함몰되거나 개인 이기(利己)를 앞세웠던 이전의 의회와는 달리, 견제와 감시라는 의회 본연의 임무에 충실하려는 노력이 최근 마무리된 첫 정례회 기간 동안 두드러졌기 때문이다.
각종 이해관계에 얽혀 대충 대충 처리하거나 집행부의 ‘거수기’ 역할을 하던 모습이 크게 줄어든 대신, ‘제대로 해보겠다’는 깐깐한 의회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는 평가에 기인한다.
우선 생색내기용 예산 삭감 분위기가 사라졌다.
대전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16일 ‘대전시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가운데 무려 72억 원 가량을 삭감하고 예비비로 돌렸다. 지난 5대의회가 2009년 2회 추경 당시 17억 5300만 원을, 2010년 본예산에서는 29억 300만 원을 삭감했던 것과 비교하면 이번 의회는 시의 예산 편성에 대대적으로 칼을 댄 것이다.
예결위 측은 “관행적으로 지원하거나 개선 노력 등이 없는 사업 등에 대해선 과감하게 삭감했다”며 “앞으로도 시민들의 귀중한 세금이 누수 되는 것을 막고 예산이 효율적으로 집행되도록 심사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대덕구의회는 추경안으로 올라온 통합기금 20억 차입안에 대해 “기금 차입 역시 빚인 만큼 절감예산 차원에서 최대한 차입을 막아야 한다”며 부결시켰다.
앞서 지난 15일 열린 대전시의회 예결특위에서도 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의 인건비 부족분 증액과 동춘당 명품화 사업의 부실 우려 등에 대한 시의원의 집중 공세에 관련 국장은 진땀을 빼야 했다.
의원 발의 등 능동적인 의원 활동 모습도 엿보인다.
유성구의회 사회도시위원회는 지난 15일 송대윤 부의장의 발의로 ‘복지센터’를 시의 지원을 받아 운영할 수 있는 ‘복지관’으로 격상시키는 개정안을 통과시키고 17일 본회의 최종 의결만 남겨놓고 있다.
송 부의장은 “복지센터가 복지관으로 승격되면 센터 운영 예산 7억 원 가운데 절반인 3억 5000만 원을 시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다”며 “지원된 예산은 각종 생활복지 프로그램 개발에 쓰여 주민 복지 수준을 높일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같은 달라진 의회 분위기에 대해 의회 안팎에선 “그동안 광역·기초단체장과 의원 대다수가 같은 정당 소속이어서 견제·감시 기능이 저하됐지만, 이번 의회는 야당 의원들의 입성으로 의회 본연의 제 목소리를 상당부분 찾아가고 있다”며 “의회 내 여·야의 균형이 얼마나 잘 이뤄지는가에 따라, 의회의 활성화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
과거 밥그릇 다툼에 함몰되거나 개인 이기(利己)를 앞세웠던 이전의 의회와는 달리, 견제와 감시라는 의회 본연의 임무에 충실하려는 노력이 최근 마무리된 첫 정례회 기간 동안 두드러졌기 때문이다.
각종 이해관계에 얽혀 대충 대충 처리하거나 집행부의 ‘거수기’ 역할을 하던 모습이 크게 줄어든 대신, ‘제대로 해보겠다’는 깐깐한 의회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는 평가에 기인한다.
우선 생색내기용 예산 삭감 분위기가 사라졌다.
대전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16일 ‘대전시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가운데 무려 72억 원 가량을 삭감하고 예비비로 돌렸다. 지난 5대의회가 2009년 2회 추경 당시 17억 5300만 원을, 2010년 본예산에서는 29억 300만 원을 삭감했던 것과 비교하면 이번 의회는 시의 예산 편성에 대대적으로 칼을 댄 것이다.
예결위 측은 “관행적으로 지원하거나 개선 노력 등이 없는 사업 등에 대해선 과감하게 삭감했다”며 “앞으로도 시민들의 귀중한 세금이 누수 되는 것을 막고 예산이 효율적으로 집행되도록 심사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대덕구의회는 추경안으로 올라온 통합기금 20억 차입안에 대해 “기금 차입 역시 빚인 만큼 절감예산 차원에서 최대한 차입을 막아야 한다”며 부결시켰다.
앞서 지난 15일 열린 대전시의회 예결특위에서도 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의 인건비 부족분 증액과 동춘당 명품화 사업의 부실 우려 등에 대한 시의원의 집중 공세에 관련 국장은 진땀을 빼야 했다.
의원 발의 등 능동적인 의원 활동 모습도 엿보인다.
유성구의회 사회도시위원회는 지난 15일 송대윤 부의장의 발의로 ‘복지센터’를 시의 지원을 받아 운영할 수 있는 ‘복지관’으로 격상시키는 개정안을 통과시키고 17일 본회의 최종 의결만 남겨놓고 있다.
송 부의장은 “복지센터가 복지관으로 승격되면 센터 운영 예산 7억 원 가운데 절반인 3억 5000만 원을 시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다”며 “지원된 예산은 각종 생활복지 프로그램 개발에 쓰여 주민 복지 수준을 높일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같은 달라진 의회 분위기에 대해 의회 안팎에선 “그동안 광역·기초단체장과 의원 대다수가 같은 정당 소속이어서 견제·감시 기능이 저하됐지만, 이번 의회는 야당 의원들의 입성으로 의회 본연의 제 목소리를 상당부분 찾아가고 있다”며 “의회 내 여·야의 균형이 얼마나 잘 이뤄지는가에 따라, 의회의 활성화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선우 기자 swlyk@cctoday.co.kr
이승동 기자 dong79@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