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내신제도가 현행 상대평가 방식에서 오는 2014년부터 원점수와 평균점수, 표준편차, 과목별 이수 학생 수만 공개되는 절대평가 방식으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7일 예정된 월례 토론회에서 현행 9등급 상대평가 제도를 개선하는 내용의 고교 내신제도 선진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16일 밝혔다.
교육과학기술부와 교육과정선진화연구에 참여해온 대학교수, 교원단체 등은 월례 토론회를 통해 우선 2012~2013년 일부 전문교과 등에 대한 내신 9등급제를 폐지한 뒤 2014년부터 전 교과목에 절대평가를 도입하는 내용의 연구결과를 내놓을 예정이다.
이번 내신제도 개선방안 추진은 2006년부터 운영돼 온 상대평가 방식이 학생들의 지나친 경쟁을 유발한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이를 위해 교과부는 개편안에 맞춰 2학기 전국 74개 고교를 시범학교로 선정해 소인수 과목(수강 학생 13명 이하)에 제한적으로 내신 9등급제를 폐지해 운영토록 하고 있다.
교과부는 모든 과목을 선택형으로 전환하는 2009개정교육과정이 전면 시행되고 과목별 성취도 기준이 완성되는 2014년부터는 절대평가를 일선 고교 전면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새롭게 도입되는 내신제도에서는 평가방식이 절대평가로 바뀔 뿐 아니라 기존 수우미양가 등급 대신 성적이 원점수, 평균점수, 표준편차, 과목별 수강생 수 등 4가지로만 표기된다.
하지만 이는 지난 2006년 일선고교들의 '내신 부풀리기' 부작용에 대한 대안으로 마련된 상대평가제가 8년 만에 사실상 전면 폐지되는 것으로 상당한 파장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교육계 일각에선 과거 문제가 됐던 내신 부풀리기가 성행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연구관계자는 “2007년부터 학교정보공시제도가 시행돼 이미 각 학교의 평균점수가 공개돼 있다.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교과부 역시 일부 대학이 내신 등급제가 폐지된 것을 악용해 암암리에 고교등급제를 적용, 학생을 선발하는 사례도 생길 수 있다고 보고 공통적인 내신성적 산출식을 만드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교육과학기술부는 17일 예정된 월례 토론회에서 현행 9등급 상대평가 제도를 개선하는 내용의 고교 내신제도 선진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16일 밝혔다.
교육과학기술부와 교육과정선진화연구에 참여해온 대학교수, 교원단체 등은 월례 토론회를 통해 우선 2012~2013년 일부 전문교과 등에 대한 내신 9등급제를 폐지한 뒤 2014년부터 전 교과목에 절대평가를 도입하는 내용의 연구결과를 내놓을 예정이다.
이번 내신제도 개선방안 추진은 2006년부터 운영돼 온 상대평가 방식이 학생들의 지나친 경쟁을 유발한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이를 위해 교과부는 개편안에 맞춰 2학기 전국 74개 고교를 시범학교로 선정해 소인수 과목(수강 학생 13명 이하)에 제한적으로 내신 9등급제를 폐지해 운영토록 하고 있다.
교과부는 모든 과목을 선택형으로 전환하는 2009개정교육과정이 전면 시행되고 과목별 성취도 기준이 완성되는 2014년부터는 절대평가를 일선 고교 전면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새롭게 도입되는 내신제도에서는 평가방식이 절대평가로 바뀔 뿐 아니라 기존 수우미양가 등급 대신 성적이 원점수, 평균점수, 표준편차, 과목별 수강생 수 등 4가지로만 표기된다.
하지만 이는 지난 2006년 일선고교들의 '내신 부풀리기' 부작용에 대한 대안으로 마련된 상대평가제가 8년 만에 사실상 전면 폐지되는 것으로 상당한 파장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교육계 일각에선 과거 문제가 됐던 내신 부풀리기가 성행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연구관계자는 “2007년부터 학교정보공시제도가 시행돼 이미 각 학교의 평균점수가 공개돼 있다.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교과부 역시 일부 대학이 내신 등급제가 폐지된 것을 악용해 암암리에 고교등급제를 적용, 학생을 선발하는 사례도 생길 수 있다고 보고 공통적인 내신성적 산출식을 만드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