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CCTV만 있어도 범죄 예방효과가 있다는데 아이들이 즐겨 찾는 어린이공원은 거의 없는 것 같네요. 아파트 내 놀이터처럼 경비원이 옆에 있는 것도 아닌데 CCTV도 없는 상태에서 큰일이라도 당하면 누가 알겠습니까."
최근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성폭력 사건이 잇따르면서 CCTV 등 안전장치 설치가 시급한 가운데 어린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대전지역 어린이공원 내 CCTV는 전무한 것으로 드러났다.
14일 대전시와 각 구청 등에 따르면 대전지역 내 지정된 어린이 공원은 동구 31곳, 중구 35곳, 서구 80곳, 유성구 67곳, 대덕구 47곳 등 총 260여 곳에 이른다. 이들 가운데 중구 중촌동 어린이 놀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어린이공원 내에는 CCTV가 설치된 곳이 단 한 군데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공원 대부분은 주택가 밀집지역이나 공원 가까이에 위치, 인근 주민을 비롯한 많은 어린이들이 즐겨 찾는 시설이지만 밤이면 비행청소년들과 취객들로 인해 우범지대로 전락하기 십상이다.
실제 지난 7월 5일 공원에서 취객을 폭행해 숨지게 한 혐의(폭행치사)로 A(29) 씨가 경찰에 붙잡히기도 했다. A 씨는 이날 오후 10시28분경 서구 괴정동의 한 주택가 인근 공원에서 노는 아이들에게 "시끄럽다"고 욕을 하는 취객 B(48) 씨에게 "아이들에게 너무 심한 것이 아니냐"고 항의하던 것이 시비가 돼 다툼을 벌이다 B 씨의 얼굴과 옆구리를 때려 숨지게 했다.
이처럼 주택가 인근 어린이공원 내 폭행 등의 사건 잇따라 예방을 위한 CCTV 설치가 시급한 실정이지만 해당구청은 예산상을 이유로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어린이 대상 범죄 제로화를 선언한 서구청은 올해 10월말까지 어린이공원 80곳 중 28곳에 CCTV를 설치할 예정이지만 나머지 구청은 설치 계획조차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유성구도 어린이공원 인근 2곳에 CCTV 설치 계획이 있지만 공원 내가 아니기 때문에 사실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모 구청 관계자는 "현재 CCTV 설치 민원이 많아 시급한 지역부터 설치하고 있다"며 "방범용 CCTV 설치는 시비를 지원받지만 통신비, 전기료 등 운영예산은 구청에서 부담하기 때문에 재정상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주택가나 학교주변 등 범죄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올해 62곳에 대한 설치예산을 지원했지만 어린이공원은 없었다"며 "상습 우범지대인 어린이공원 내 CCTV 설치 필요성은 공감하지만 우선 시급한 지역도 많고, 공원 인근지역에 설치해도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
최근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성폭력 사건이 잇따르면서 CCTV 등 안전장치 설치가 시급한 가운데 어린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대전지역 어린이공원 내 CCTV는 전무한 것으로 드러났다.
14일 대전시와 각 구청 등에 따르면 대전지역 내 지정된 어린이 공원은 동구 31곳, 중구 35곳, 서구 80곳, 유성구 67곳, 대덕구 47곳 등 총 260여 곳에 이른다. 이들 가운데 중구 중촌동 어린이 놀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어린이공원 내에는 CCTV가 설치된 곳이 단 한 군데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공원 대부분은 주택가 밀집지역이나 공원 가까이에 위치, 인근 주민을 비롯한 많은 어린이들이 즐겨 찾는 시설이지만 밤이면 비행청소년들과 취객들로 인해 우범지대로 전락하기 십상이다.
실제 지난 7월 5일 공원에서 취객을 폭행해 숨지게 한 혐의(폭행치사)로 A(29) 씨가 경찰에 붙잡히기도 했다. A 씨는 이날 오후 10시28분경 서구 괴정동의 한 주택가 인근 공원에서 노는 아이들에게 "시끄럽다"고 욕을 하는 취객 B(48) 씨에게 "아이들에게 너무 심한 것이 아니냐"고 항의하던 것이 시비가 돼 다툼을 벌이다 B 씨의 얼굴과 옆구리를 때려 숨지게 했다.
이처럼 주택가 인근 어린이공원 내 폭행 등의 사건 잇따라 예방을 위한 CCTV 설치가 시급한 실정이지만 해당구청은 예산상을 이유로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어린이 대상 범죄 제로화를 선언한 서구청은 올해 10월말까지 어린이공원 80곳 중 28곳에 CCTV를 설치할 예정이지만 나머지 구청은 설치 계획조차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유성구도 어린이공원 인근 2곳에 CCTV 설치 계획이 있지만 공원 내가 아니기 때문에 사실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모 구청 관계자는 "현재 CCTV 설치 민원이 많아 시급한 지역부터 설치하고 있다"며 "방범용 CCTV 설치는 시비를 지원받지만 통신비, 전기료 등 운영예산은 구청에서 부담하기 때문에 재정상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주택가나 학교주변 등 범죄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올해 62곳에 대한 설치예산을 지원했지만 어린이공원은 없었다"며 "상습 우범지대인 어린이공원 내 CCTV 설치 필요성은 공감하지만 우선 시급한 지역도 많고, 공원 인근지역에 설치해도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